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I. 머리말
II. 어진(御眞)관련 도감의궤(都監儀軌)의 제작과 현존 상황
1. ‘어진(御眞)’이라는 용어의 탄생
2. 어진관련 도감의궤의 제작과 현존 상황
III. 숙종(肅宗)대의 어진관련 도감의궤
1.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영정모사도감의궤』: 태조어진 모사(1688)
2. 현존하는 최고(最...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I. 머리말
II. 어진(御眞)관련 도감의궤(都監儀軌)의 제작과 현존 상황
1. ‘어진(御眞)’이라는 용어의 탄생
2. 어진관련 도감의궤의 제작과 현존 상황
III. 숙종(肅宗)대의 어진관련 도감의궤
1.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영정모사도감의궤』: 태조어진 모사(1688)
2.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어용(御容)도사도감의궤』: 숙종어진 도사(1713)
IV. 영조(英祖)대의 어진관련 도감의궤
1. 『영정모사도감의궤』: 세조어진 모사(1735)
2. 최초로 반차도(班次圖)가 포함된 『영정모사도감의궤』: 숙종어진 모사(1748)
V. 19세기 어진관련 도감의궤
1. 『영정모사도감의궤』: 태조어진 모사(1837)
2. 현존하는 태조어진 모사: 『어진이모(移模)도감도청의궤』(1872)
VI. 갑오경장(1894) 이후의 어진관련 도감의궤
1. 『영정모사도감의궤』: 태조어진 모사(1900)
2. 칠조(七祖)의 영정을 모사: 『영정모사도감의궤』(1901)
3. 고종황제와 황태자의 초상화 제작: 『어진도사도감의궤』(1902)
VII. 유교(儒敎)이념과 어진
1. 숙종(肅宗)시대 이전
2. 숙종시대
3. 영조(英祖)시대
4. 19세기와 대한제국(大韓帝國) 시대
VIII. 어진화가들의 선정과정, 평가기준과 방법 및 대우
1. 어진화가들의 선정과정
(1) 숙종시대
(2) 영조시대
(3) 19세기 이후
2. 어진관련 도감에 나타난 화가들의 급여 및 시상(施賞) 내용
3. 어진관련 도감에 참여하였던 화가들
IX. 어진관련 의궤와 오봉병(五峯屛)
1. 연구 목적
2. 조선시대 왕실 기록에 나타난 오봉병의 제작과 사용
3. 오봉병의 도상(圖象)
4. 오봉병의 회화(繪?) 양식
5. 소결(小結)
X. 맺는말
참고자료
1. 어진관련 도감의궤에 나타난 조선시대 장인(匠人)의 종류
2. 어진관련 도감의궤에 나타난 화가 명단(가나다 순)
3. 현재 알려진 각종 형태의 오봉병의 소재별 목록
참고문헌
도판·표·지도 목록
용어해설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 제목에는 특수기호 사용을 제한합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