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결과 상세 정보

  • HOME
  • 검색결과 상세 정보

한국 경제, 패러다임을 바꿔라

신장섭

책이미지
한국 경제, 패러다임을 바꿔라
서평쓰기
서평쓰기
책이미지

QRcode

QR Code
QRcode 사용방법
QRcode 사용방법
QR코드 정의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형식의 코드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각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QR코드 인식프로그램
스마트폰 마켓에 들어가면 'QR코드 스캔 프로그램'을 검색해 무료 어플을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서정보 QR코드 이용하기
도서 상세정보에서 QR코드를 스캔하면, 모바일 웹페이지로 연결되어 해당 도서의 상세정보 및 소장정보 등을 확인 할 수있습니다.
닫기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 경제, 패러다임을 바꿔라/ 신장섭 지음
개인저자신장섭
발행사항서울: 청림, 2008
형태사항415p.: 삽도, 도표; 23cm
ISBN9788935207626
서지주기참고문헌: p. 407-415
주: p. 392-406
분류기호330.951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인쇄인쇄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CD-NET
1 EM82272 330.951 신71ㅎ 2층 제1자료열람실/2층 일반도서서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초록

목차 일부

경제학 교수의 한국경제에 관한 쾌변독설!

이 책은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 주제들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혁신적 제안을 한다. 경제문제를 바라보는 철학, 한국 경제 발전의 해석, 산업과 금융의 관계, 국제금융시장, 개방 전략, 환율 정책, 금융 위기, 재벌 문제, 정치경제학, 부동산 정책, 노령사회, 교육, 공기업 개혁 등 한국경...

목차 전체

경제학 교수의 한국경제에 관한 쾌변독설!

이 책은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 주제들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혁신적 제안을 한다. 경제문제를 바라보는 철학, 한국 경제 발전의 해석, 산업과 금융의 관계, 국제금융시장, 개방 전략, 환율 정책, 금융 위기, 재벌 문제, 정치경제학, 부동산 정책, 노령사회, 교육, 공기업 개혁 등 한국경제를 둘러싼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과거 한국 경제는 왜 기적을 이루었는지, 그런데 왜 갑자기 금융위기에 빠진 것인지, 왜 한국 경제는 금융위험에 취약한 것인지, 한미 FTA는 필요한 것인지, 공기업 개혁은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부동산 시장은 때려 잡아야 하는지, 환율은 왜 널뛰기 하는지 등 각종 ''왜''란 질문에 답한다.

70여 편의 글들은 대주제는 다르지만 모두 창조, 실용, 주체성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각 주제마다 통쾌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하여 한국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한국 경제의 금융 산업 동반성장 전략은 무엇인지를 모색한다. 경제는 창조하는 것임을 강조하며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다.

☞ 이 책의 독서 포인트!
판에 박힌 경제 이야기에 싫증 난 이들에게 색다른 책이 될 것이다. 일반인들의 상식선에서 ''큰'' 문제들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경제학 교양서이기 때문이다. 학문적인 책과 쉬운 책의 중간이다. 철학, 이론, 역사와 현실이 어우러져 있다. 경제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다양하게 얽혀 있는 국내외 상황과 정치, 사회적인 문제들까지 함께 고려하였다.

목차

목차 일부

들어가는 말

1장  경제 통념 뒤집어 보기
1. ‘경제 기적’, 왜 자꾸 일어나나 | 
2. 경제는 창조하는 것이다 
따로 읽기 _ 슘페터, 마셜, 조순 부총리와 『논어(論語)』 관중편(管仲篇) | 
3. 경제학, 왜 현실 경제와 동떨어지나 |  
4. 제도주의자의 항변 / 
따로 읽기 _ 드러커의 ‘잘못된 구체성(false concrete...

목차 전체

들어가는 말

1장  경제 통념 뒤집어 보기
1. ‘경제 기적’, 왜 자꾸 일어나나 | 
2. 경제는 창조하는 것이다 
따로 읽기 _ 슘페터, 마셜, 조순 부총리와 『논어(論語)』 관중편(管仲篇) | 
3. 경제학, 왜 현실 경제와 동떨어지나 |  
4. 제도주의자의 항변 / 
따로 읽기 _ 드러커의 ‘잘못된 구체성(false concreteness)의 위험’ / 아들에게 가르치는 경제학 | 
5. ‘시장-정부’ 이분법 버리자 | 
6. 고도성장 체념하는 것이 과학적인가 | 
7. 정경 유착을 잘해야 경제 발전 빨라진다 | 
8. 샌드위치론, 반(反)샌드위치론, 초(超)샌드위치론 | 
9. 글로벌 스탠더드, 누구에게 좋은가

2장  산업과 금융 그리고 투자
1. 골디락스 경제와 펀드 자본주의 /
따로 읽기 | 그린스펀 풋(Greenspan Put) / GM과 펀드 자본주의의 탄생 | 
2. 금융은 차세대 성장 동력인가 | 
3. 산업자본과 금융자본, 왜 시각이 다른가 | 
4. 금융-산업, 산업금융과 투자의 삼각함수 / 따로 읽기 _ 투자 부진 착시(錯視) 현상 | 
5. 소비도 위축시키고 투자도 죽인 소비 위주 정책 | 
6. 주식시장의 허상(虛像) - 자금 조달 창구가 아니라 유출 창구 | 
7. 펀드의 재벌화와 시대 뒤떨어진 금산분리 논쟁 / 
따로 읽기 _ 금융시장의 ‘모르는 모르는 것(Unknown unknown)’과 서브프라임 사태 | 
8. 포스트모더니즘의 금융시장 - 상호주관성 만들어 내기 / 따로 읽기 _ 수학으로 1조 원을 번 사람

3장  주체성 있는 개방 전략
1. 한국 경제, 폐쇄적이었나 | 
2. 외자 유치 왜 필요했나 / 
따로 읽기 _ 자본에는 국적이 없는가? No!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의 걱정 | 
3. 사대주의적 경제자유구역 정책 | 
4. 한미 FTA, 어떻게 푸나 / 따로 읽기 _ 한미 FTA와 ‘생산성 쇼크’ | 
5. 미국 경제 바로 알자 | 
6. 중국의 기회와 위협 | 
7. 환율주권론과 투기가 지배하는 외환시장 / 따로 읽기 _  환투기꾼의 볼모에서 벗어나자 / 긴급 자본 통제 필요하다 | 
8. 국제 협상에 통역 쓰자 / 따로 읽기 _ 독일 법정에서 영어 택한 한국 기업인 | 
9. 시대 역행하는 한국식 한자 교육 

4장  IMF 구조조정의 뒤안길
1. 한국의 경제 기적과 금융 위기를 일관성 있게 설명해야 / 따로 읽기 _ 자동차 사고와 금융 위기의 세 가지 원인 | 
2. IMF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극복한 금융 위기 / 따로 읽기 _ 주식(主食)과 후식(後食) 따로 평가해야 : IMF 자금 지원과 IMF 프로그램 | 
3. IMF 프로그램의 정치경제학 / 따로 읽기 _ IMF의 에콰도르 금융 위기 처방 | 
4. 금융 위기 극복의 대안은 - 휴버트 나이스 박사와의 대화 / 따로 읽기 _ 자본 자유화와 자동차 운전 - 스티글리츠의 비유, 신장섭 확장판 | 
5. BIS 비율, 맹목적으로 좇지 말자 / 따로 읽기 _  서브프라임 사태 악화시킨 ‘개혁적’ 은행회계제도 | 
6. 아시아 금융 위기와 중남미 금융 위기는 질적으로 다르다 / 따로 읽기 _ 칠레의 경제 기적? 

5장 재벌, 무엇이 문제인가
1. 재벌도 보편적이고 재벌 문제도 보편적이다 | 
2. 재벌, 금융 위기의 주범이었나 | 
3. 반(反)재벌 3자동맹과 경제 민주화 / 따로 읽기 _ 적반하장의 순환출자 비판론 | 
4. 가족경영이 전문경영보다 효율적이다 | 
5.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상생(相生)의 관계가 더 크다 | 
6. 삼성그룹 해체의 단상(斷想)

6장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
1. 정경 유착과 정경 협력의 갈림길 | 
2. 경제 논리와 정치 논리가 엇갈릴 때 | 
3. 헌법 위에 국민정서법? | 
4. 부동산 문제는 정치 문제이다 | 
5. 부자와 투기꾼 분리해야 | 
6.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반값 아파트 정책 | 
7. 노령 사회, 이민으로 대처해야 | 
8. 공기업의 효율성과 공익, 두 마리 토끼 잡기 / 따로 읽기 _ 산업은행 민영화, 도대체 왜 해야 하나 | 
9. 테마섹(Temasek)식 공기업 개혁 해볼 만하다 | 
10. 교육은 갈수록 커지는 거대 산업이다 

맺는말 |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주 
참고 문헌

청구기호 Browsing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 제목에는 특수기호 사용을 제한합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4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3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2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1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태그

태그추가


1532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안산대학로 155 (일동) Tel. 031)400-7071~4 Fax. 031)400-7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