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 21세기가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 - 세 도시 이야기: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제1부 오끼나와
1 동아시아 속의 오끼나와 / 강태웅
2 오끼나와에 온 까닭 / 최원식
1. 유리구슬에 비친 한국/2. 일본 동아시아론의 향방/3. 수출론과 보상론의 미몽을 넘어
3 ''조국복귀''운동에서 ''자치'' 주장으로: 문제로서의 오끼나와 / 강태웅
1. 들어가며/2. ''조국'' 일본으로의 복귀운동/3. 본토와의 대립/4. 오끼나와의 지향점: ''자치'' 주장을 중심으로/5. 나가며
4 근대 오끼나와에 있어서 마이너리티 인식의 변천 / 야까비 오사무
1. 머리말/2. 메이지시대의 오오따 죠오후/3. 다이쇼시대의 이하 후유/4. 쇼와시대의 쿠시 후사꼬/5. 맺음말
5 ''재일 오끼나와인'', 그 호칭이 조명하는 것 / 토베 히데아끼
1. 시작하며/2. 근데 오끼나와인에게 있어서 조선과 조선인/3. 학대받는 자의 유사성: 재일 조선인단체로의 접근의 의미/
4. ''재일 오끼나와인''의 보급/5. ''오까나와인''이다라는 공포/6. 맺으며
5 종합토론
제2부 호찌민시
1 제국의 주변이길 거부하는 베트남 / 신윤환
2 베트남의 동아시아 인식 / 신윤환
1. 베트남의 정체성에 대한 궁금증/2. 베트남과 중국/3. 베트남과 미국/4. 베트남의 동아시아 인식/
5. 한국과 베트남, 그 특별한 관계/6. 보론: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이점
3 베트남전쟁 소설론: 용병의 교훈 / 송승철
1. ''당신들의 전쟁''/2. 모순된 체험/3. 모순된 체험의 자기설복: 자기합리화인가 객관화인가?/4. 『머나먼 쏭바강』: 젊음의 통과제의/
5. 『하얀전쟁』: 실존주의적 합리화/6. 『무기의 그늘』: 방관자의 절망/7. 결론: 용병의 한계
4 21세기 초 아시아 - 태평양지역의 안보: 동남아 평화·자유·중립지대로부터 아세안 지역안보포럼까지 / 응웬 반 릭
1. 냉전과 동남아: 냉전 속의 지역안보에 대한 몇가지 재인식/2. 아세안과 ZOPFAN의 관점: 냉전 속의 지역안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
3.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창설/4. 아세안과 21세기 초 아시아 - 태평양지역의 안보
5 동아시아공동체의전개 / 호앙 칵 남
1. 여는글/2. 지리적 전제/3. 역사적 전제/4. 사회문화적 전제/5. 정치안보적 전체/6. 경제적 전체/7. 결론
6. 종합토론
제3부 타이뻬이
1 다중적 식민경험과 타이완 민족주의 / 양태근
2 평화에 대한 상상력의 조건과 한계: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성찰 / 백영서
1.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평화와 소통이란?/2. 중국의 화평굴기와 동아시아 공동체/3. ''보통의 국가'' 일본과 동아시아 공동체론/
4. ''동북아시대'' 한국의 평화로의 길/5. 주변적 지성의 결집: 한국과 타이완의 소통
3 타이완 민족주의를 통해 본 중국 / 양태근
1. 서론/2. 민족주의: 발명/발견/재생/3. 타이완 민족주의/4. 중국 제국주의와 미일 제국주의 사이에서/
5. 극복/용인
4 동아시아의 미래와 타이완의 현재: 한 문학연구자의 시각 / 쳔팡밍
1. 동아시아의 타이완: 출석과 결석/2. 제국의 그늘하의 타이완 문학/3. 탈제국: 신화 혹은 현실
5 천민선언, 혹은 타이완 비극의 도덕적 의의 / 우루이런
6 정보와 담론: 타이완에서의 ''아시아''에 대한 사고와 인식의 가능성 / 뤼샤오리
1. 정보/담론, 생활세계/역사순간/2. ''간극''의 생산/3. 중층중심의 중층주변/4. 중층주변의 다중중심/
5. ''문화''를 통해 아시아를 생각하다: 결론을 대신하여
7 종합토론
필자 및 주요 토론자 소개
책머리 - 세 도시 이야기: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제1부 오끼나와
1 동아시아 속의 오끼나와 / 강태웅
2 오끼나와에 온 까닭 / 최원식
1. 유리구슬에 비친 한국/2. 일본 동아시아론의 향방/3. 수출론과 보상론의 미몽을 넘어
3 ''조국복귀''운동에서 ''자치'' 주장으로: 문제로서의 오끼나와 / 강태웅
1. 들어가며/2. ''조국'' 일본으로의 복귀운동/3. 본토와의 대립/4. 오끼나와의 지향점: ''자치'' 주장을 중심으로/5. 나가며
4 근대 오끼나와에 있어서 마이너리티 인식의 변천 / 야까비 오사무
1. 머리말/2. 메이지시대의 오오따 죠오후/3. 다이쇼시대의 이하 후유/4. 쇼와시대의 쿠시 후사꼬/5. 맺음말
5 ''재일 오끼나와인'', 그 호칭이 조명하는 것 / 토베 히데아끼
1. 시작하며/2. 근데 오끼나와인에게 있어서 조선과 조선인/3. 학대받는 자의 유사성: 재일 조선인단체로의 접근의 의미/
4. ''재일 오끼나와인''의 보급/5. ''오까나와인''이다라는 공포/6. 맺으며
5 종합토론
제2부 호찌민시
1 제국의 주변이길 거부하는 베트남 / 신윤환
2 베트남의 동아시아 인식 / 신윤환
1. 베트남의 정체성에 대한 궁금증/2. 베트남과 중국/3. 베트남과 미국/4. 베트남의 동아시아 인식/
5. 한국과 베트남, 그 특별한 관계/6. 보론: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이점
3 베트남전쟁 소설론: 용병의 교훈 / 송승철
1. ''당신들의 전쟁''/2. 모순된 체험/3. 모순된 체험의 자기설복: 자기합리화인가 객관화인가?/4. 『머나먼 쏭바강』: 젊음의 통과제의/
5. 『하얀전쟁』: 실존주의적 합리화/6. 『무기의 그늘』: 방관자의 절망/7. 결론: 용병의 한계
4 21세기 초 아시아 - 태평양지역의 안보: 동남아 평화·자유·중립지대로부터 아세안 지역안보포럼까지 / 응웬 반 릭
1. 냉전과 동남아: 냉전 속의 지역안보에 대한 몇가지 재인식/2. 아세안과 ZOPFAN의 관점: 냉전 속의 지역안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
3.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창설/4. 아세안과 21세기 초 아시아 - 태평양지역의 안보
5 동아시아공동체의전개 / 호앙 칵 남
1. 여는글/2. 지리적 전제/3. 역사적 전제/4. 사회문화적 전제/5. 정치안보적 전체/6. 경제적 전체/7. 결론
6. 종합토론
제3부 타이뻬이
1 다중적 식민경험과 타이완 민족주의 / 양태근
2 평화에 대한 상상력의 조건과 한계: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성찰 / 백영서
1.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평화와 소통이란?/2. 중국의 화평굴기와 동아시아 공동체/3. ''보통의 국가'' 일본과 동아시아 공동체론/
4. ''동북아시대'' 한국의 평화로의 길/5. 주변적 지성의 결집: 한국과 타이완의 소통
3 타이완 민족주의를 통해 본 중국 / 양태근
1. 서론/2. 민족주의: 발명/발견/재생/3. 타이완 민족주의/4. 중국 제국주의와 미일 제국주의 사이에서/
5. 극복/용인
4 동아시아의 미래와 타이완의 현재: 한 문학연구자의 시각 / 쳔팡밍
1. 동아시아의 타이완: 출석과 결석/2. 제국의 그늘하의 타이완 문학/3. 탈제국: 신화 혹은 현실
5 천민선언, 혹은 타이완 비극의 도덕적 의의 / 우루이런
6 정보와 담론: 타이완에서의 ''아시아''에 대한 사고와 인식의 가능성 / 뤼샤오리
1. 정보/담론, 생활세계/역사순간/2. ''간극''의 생산/3. 중층중심의 중층주변/4. 중층주변의 다중중심/
5. ''문화''를 통해 아시아를 생각하다: 결론을 대신하여
7 종합토론
필자 및 주요 토론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