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중국에서 조선인/한인의 귀환과 정착
재만 한인의 국적 문제 [김춘선]
해방 후 중국지역 한인의 귀환과 성격 [장석흥]
朝鮮 師團의 在中國 活動과 北韓 移動
: 中國人民解放軍 第156師團을 중심으로 [염인호(廉仁鎬)]
1920년대 후반 만주정세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의 자치운동 [조춘호]
해방 직후 한국소설에 나타난 귀환과 정주의 선택과 그 의미
: 만주 지역에서의 귀환과 정주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최병우]
해방 직후 조선족문학에서 보여진 거주지와 고향의식의 관계 [리광일(李光一)]
1960년대 초반 중국 조선족 장편소설에 나타난 민족의식의 내면화
: 리근전의 장편소설 『범바위』를 중심으로 [이해영ㆍ곽효민]
조선족 농촌여성의 실존적 특징
: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를 중심으로 [이광재ㆍ지해연]
제2부 전쟁과 삶
??1951年初中?拒??合?停火?案的?策 [沈志?]
朝?停??判中的??遣返?? [??功]
抗美援朝?材文?作品?中?人影?之?究 [丁玉柱]
제3부 조선인/한인에 의한 한국학의 전파 및 한중교류
나의 국어학의 향방과 한국어 교육 [목정수]
北宋使行을 통해서 본 朴寅亮의 문학사적 위상 [鄭?謨]
韓國語의 主格 重出 構文에 대한 연구와 전망 [安明哲]
재만 한인의 국적 문제 [김춘선]
해방 후 중국지역 한인의 귀환과 성격 [장석흥]
朝鮮 師團의 在中國 活動과 北韓 移動
: 中國人民解放軍 第156師團을 중심으로 [염인호(廉仁鎬)]
1920년대 후반 만주정세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의 자치운동 [조춘호]
해방 직후 한국소설에 나타난 귀환과 정주의 선택과 그 의미
: 만주 지역에서의 귀환과 정주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최병우]
해방 직후 조선족문학에서 보여진 거주지와 고향의식의 관계 [리광일(李光一)]
1960년대 초반 중국 조선족 장편소설에 나타난 민족의식의 내면화
: 리근전의 장편소설 『범바위』를 중심으로 [이해영ㆍ곽효민]
조선족 농촌여성의 실존적 특징
: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를 중심으로 [이광재ㆍ지해연]
제2부 전쟁과 삶
??1951年初中?拒??合?停火?案的?策 [沈志?]
朝?停??判中的??遣返?? [??功]
抗美援朝?材文?作品?中?人影?之?究 [丁玉柱]
제3부 조선인/한인에 의한 한국학의 전파 및 한중교류
나의 국어학의 향방과 한국어 교육 [목정수]
北宋使行을 통해서 본 朴寅亮의 문학사적 위상 [鄭?謨]
韓國語의 主格 重出 構文에 대한 연구와 전망 [安明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