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전환기 한국 가족의 변화
제1장 한국 가족의 구조적 모순과 긴장
1. 가족주의의 변형과 경쟁논리의 강화
2. 부계혈통주의의 지속과 변화
3. 한국 가족의 패러독스
1) 강한 가족주의와 부담
2) 이기적 가족주의와 가족 내부 긴장
3) 과시의 증대와 가족 간 격차 증대
4) 젠더 관계 변화의 필요성
제2장 미시적 차원에서의 변화
1. 친밀성의 구조 변동
1)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성과 사랑
2) 낭만적 사랑에 대한 기대와 좌절
2. 한국의 데이트 문화
1) 대중매체에서 재현되는 성과 사랑
2) 이성교제 부추기는 상업화 전략
3) 대학생의 데이트 문화
4) 사회적 합의 부재와 새로운 요구
3. 보수성이 담보된 부부관계
1) 드물게 논의되는 한국의 부부관계
2) 이론적 맥락에서의 부부관계
3) 변화의 요구에 직면한 부부관계
제2부 가족의 다양성과 가족 내 격차
제3장 정보화 시대 가족과 세대 격차
1. 정보화 시대 인간관계의 변화
2. 정보화 시대 가족 환경의 변화
1) 가족 구조의 다양화
2) 전통적 가족유대의 약화
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세대 간ㆍ계층 간 정보화 격차
4) 민주적 가족 가치관에 대한 요구 증가
3. 부모-자녀 관계의 변화
1) 자녀의 경제적 의존성
2) 자녀의 자율성에 대한 요구
제4장 민주화 시대 가족과 불평등 인식의 증가
1. 모성 신화 비판과 어머니 역할 인식
1) 모성 개념에 대한 저항
2) 모성과 여성 정체성의 한일 비교
2. 출산을 거부하거나 지연시키는 여성들
1) 결혼 가치관과 출산 가치관의 변화
2) 자녀양육 부담과 사교육비의 증가
3) 자녀교육태도의 한일 비교
4) 성불평등에 대한 인식 강화와 정책 사이의 간극
3. 여성의 일 경험과 맞벌이 가족의 증대
4. 지체된 혁명 속 여성의 이중부담과 갈등
1) 가사노동의 여성화
2) 가사노동의 한일 비교
제5장 상품화 시대 가족과 사랑의 물신주의
1. 생애주기별로 살펴본 상품화
2.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와 물질적 과시
1) 가족주의 이데올로기
2) 물질적 과시와 인정투쟁
3. 가족 사랑을 물질로 증명하는 시대
1) 가족 과시와 선망
2) 가족의 지위 재생산 노력과 압력
3) 자녀에 대한 물질적 지원의 한ㆍ일 비교
4. 계층 간 갈등의 증폭
1) 가족 간의 비교 우위와 위축감
2) 사회적 과시의 부작용
제6장 국제화 시대의 다문화 가족
1. 국제화 경험의 증대
1) 국제화 시대의 변화
2) 기러기 가족의 등장과 증가
3)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2. 다문화 가족의 형성과 사회문화적 배경
1) 세계화와 다문화 가족의 증가
2) 다문화 가족의 구성과 성격
3) 국제결혼 증가의 사회문화적 배경
4) 상업화된 결혼시장
3. 다문화 가족의 특성
1) 부계 중심 가족주의
2) 일방적 가족문화의 전수
4. 다문화 가족에서의 부적응과 갈등
1) 결혼생활의 불신
2) 가정 폭력
3) 경제문제로 인한 갈등
5. 다문화의 인정과 양성평등에 기초한 진정한 교류
제3부 페미니즘의 정치학과 위기 극복
제7장 젠더 질서의 재편성과 가족관계의 재정립
1. 전통적 가부장 질서의 균열
1) 가부장제에 대한 사적 차원의 거부와 약화
2)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서의 자녀양육과 혼인패턴
3) 신자유주의시대 여성의 경제력 증가
2. 흔들리지만, 여전히 맹위를 떨치는 가부장적 사고
1) 저출산에 대한 위기 담론
2) 여성의 성공에 대한 부정적 사고의 잔영
3) 부권의 위기에 대한 강조
3. 젠더 관계의 지평 변화와 문화지체
1) 사회와 가족의 더딘 변화: 지연된 혁명
2) 파편화된 여성의 자율성
3) 여성들이 겪는 딜레마
제8장 다양한 가족 논의와 대안 문화의 수용
1. 다양한 가족의 증가
1) 가구형태의 변화
2) 가족 내부의 다양성 증대
2. 대중매체에 나타난 가족의 변화양상
1) 변화된 가족형태의 재현
2) 가부장적 전통의 변형과 유지
제9장 정책적 대안 모색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방안
1. 성인지적 가족정책에 대한 요구
1) 여성정책의 일환으로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가족정책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여권론적 가족정책의 필요성
2. 우리나라의 가족정책
1) 호주제로부터의 변화
2) 모성보호
3. 외국의 가족정책
1) 일본의 호적제도
2) 영국의 한부모 가족정책
3) 프랑스의 동성애 정책
4) 스웨덴의 맞벌이 부부 지원정책
4. 새로운 가족정책의 방향
찾아보기
제1장 한국 가족의 구조적 모순과 긴장
1. 가족주의의 변형과 경쟁논리의 강화
2. 부계혈통주의의 지속과 변화
3. 한국 가족의 패러독스
1) 강한 가족주의와 부담
2) 이기적 가족주의와 가족 내부 긴장
3) 과시의 증대와 가족 간 격차 증대
4) 젠더 관계 변화의 필요성
제2장 미시적 차원에서의 변화
1. 친밀성의 구조 변동
1)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성과 사랑
2) 낭만적 사랑에 대한 기대와 좌절
2. 한국의 데이트 문화
1) 대중매체에서 재현되는 성과 사랑
2) 이성교제 부추기는 상업화 전략
3) 대학생의 데이트 문화
4) 사회적 합의 부재와 새로운 요구
3. 보수성이 담보된 부부관계
1) 드물게 논의되는 한국의 부부관계
2) 이론적 맥락에서의 부부관계
3) 변화의 요구에 직면한 부부관계
제2부 가족의 다양성과 가족 내 격차
제3장 정보화 시대 가족과 세대 격차
1. 정보화 시대 인간관계의 변화
2. 정보화 시대 가족 환경의 변화
1) 가족 구조의 다양화
2) 전통적 가족유대의 약화
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세대 간ㆍ계층 간 정보화 격차
4) 민주적 가족 가치관에 대한 요구 증가
3. 부모-자녀 관계의 변화
1) 자녀의 경제적 의존성
2) 자녀의 자율성에 대한 요구
제4장 민주화 시대 가족과 불평등 인식의 증가
1. 모성 신화 비판과 어머니 역할 인식
1) 모성 개념에 대한 저항
2) 모성과 여성 정체성의 한일 비교
2. 출산을 거부하거나 지연시키는 여성들
1) 결혼 가치관과 출산 가치관의 변화
2) 자녀양육 부담과 사교육비의 증가
3) 자녀교육태도의 한일 비교
4) 성불평등에 대한 인식 강화와 정책 사이의 간극
3. 여성의 일 경험과 맞벌이 가족의 증대
4. 지체된 혁명 속 여성의 이중부담과 갈등
1) 가사노동의 여성화
2) 가사노동의 한일 비교
제5장 상품화 시대 가족과 사랑의 물신주의
1. 생애주기별로 살펴본 상품화
2.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와 물질적 과시
1) 가족주의 이데올로기
2) 물질적 과시와 인정투쟁
3. 가족 사랑을 물질로 증명하는 시대
1) 가족 과시와 선망
2) 가족의 지위 재생산 노력과 압력
3) 자녀에 대한 물질적 지원의 한ㆍ일 비교
4. 계층 간 갈등의 증폭
1) 가족 간의 비교 우위와 위축감
2) 사회적 과시의 부작용
제6장 국제화 시대의 다문화 가족
1. 국제화 경험의 증대
1) 국제화 시대의 변화
2) 기러기 가족의 등장과 증가
3)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2. 다문화 가족의 형성과 사회문화적 배경
1) 세계화와 다문화 가족의 증가
2) 다문화 가족의 구성과 성격
3) 국제결혼 증가의 사회문화적 배경
4) 상업화된 결혼시장
3. 다문화 가족의 특성
1) 부계 중심 가족주의
2) 일방적 가족문화의 전수
4. 다문화 가족에서의 부적응과 갈등
1) 결혼생활의 불신
2) 가정 폭력
3) 경제문제로 인한 갈등
5. 다문화의 인정과 양성평등에 기초한 진정한 교류
제3부 페미니즘의 정치학과 위기 극복
제7장 젠더 질서의 재편성과 가족관계의 재정립
1. 전통적 가부장 질서의 균열
1) 가부장제에 대한 사적 차원의 거부와 약화
2)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서의 자녀양육과 혼인패턴
3) 신자유주의시대 여성의 경제력 증가
2. 흔들리지만, 여전히 맹위를 떨치는 가부장적 사고
1) 저출산에 대한 위기 담론
2) 여성의 성공에 대한 부정적 사고의 잔영
3) 부권의 위기에 대한 강조
3. 젠더 관계의 지평 변화와 문화지체
1) 사회와 가족의 더딘 변화: 지연된 혁명
2) 파편화된 여성의 자율성
3) 여성들이 겪는 딜레마
제8장 다양한 가족 논의와 대안 문화의 수용
1. 다양한 가족의 증가
1) 가구형태의 변화
2) 가족 내부의 다양성 증대
2. 대중매체에 나타난 가족의 변화양상
1) 변화된 가족형태의 재현
2) 가부장적 전통의 변형과 유지
제9장 정책적 대안 모색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방안
1. 성인지적 가족정책에 대한 요구
1) 여성정책의 일환으로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가족정책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여권론적 가족정책의 필요성
2. 우리나라의 가족정책
1) 호주제로부터의 변화
2) 모성보호
3. 외국의 가족정책
1) 일본의 호적제도
2) 영국의 한부모 가족정책
3) 프랑스의 동성애 정책
4) 스웨덴의 맞벌이 부부 지원정책
4. 새로운 가족정책의 방향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