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머리에    

1. 민화와 상상력    

민화는 자유다    
자연의 꿈    
단순함의 아름다움    
흥취에 젖은 민화    
웃음 속에 담겨 있는 풍자    

2. 규범으로부터의 자유 - 책거리
    
학문에 대한 애착이 강한 민족
정조가 책거리를 구상하다    
조선에 조용하게 분 시누아즈리
이형록, 이응록, 그리고 이택균의 책거리
촘촘한 공간의 민화 책거리    
에로틱한 책거리의 등장    

3. 문자에 깃든 주술의 힘- 백수백복도, 문자도

문자도는 주술적인 기능을 한다
온갖 복을 받고 오랜 장수를 누리기를 바라다
유교문자도의 탄생    
‘쿡’ 찍은 점 하나의 상상력    

4. 유교문자도의 백미 - 제주도 문자도

파리에서 만난 제주도 문자도    
제주도 액자 속에 끼어 넣은 육지 문자도
신의 섬, 제주도에 분 유교민화의 바람
현대적 감각이 돋보이는 제주도 문자도    

5. 호랑이가 전하는 우리의 이야기 - 까치호랑이

호랑이의 두 얼굴    
까치호랑이의 뿌리에 관한 논란    
김홍도가 정립한 한국 호랑이 그림
까치와 호랑이가 대립하는 까닭은?    
바보 호랑이의 등장
호랑이의 또 다른 변신    

6. 낯설지 않은 상상의 동물 - 운룡도, 용호문배도, 어변성룡도

용의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용그림을 그려 비 오기를 기원하다    
용에도 위계가 있다
구름 속에 파묻힌 용    
잉어가 용이 되는 기적    
용과 호랑이가 지키는 가정

7 불로장생의 유토피아 - 십장생도, 해학반도도, 요지연도

열한 번째 십장생도의 상징, 반도    
동방과 서방의 유토피아    
십장생도는 어떤 유토피아인가?    
서왕모신앙과 관련된 그림들    
조선후기 십장생도에 나타난 유토피아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