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입론편
1장. 기초이론
Ⅰ. 도론
1. 도론의 형성
2. 도의 상象
Ⅱ. 음양론
1. 음양론의 형성
2. 한의학의 음양론
Ⅲ. 오행론
1. 오행론의 형성
2. 『황제내경』의 오행이론
2장. 응용이론
Ⅰ. 구조론
1. 천지天地․상하上下구조
2. 형기形氣․내외內外구조
3. 수직구조
4. 사상四象구조
Ⅱ. 구성론
1. 정精과 신神, 형形과 신神
2. 영營과 위衛, 영營․위衛․기氣․혈血
3. 정精․기氣․신神
4. 정精․신神․기氣․혈血
제2부 치방편
1장. 진단․치법의 원리
Ⅰ. 심병審病 / 94
Ⅱ. 변증辨證 / 94
Ⅲ. 치료治療 / 95
2장. 진단․치법의 실제
Ⅰ. 보약치방편
1. 보기약補氣藥
2. 보혈약補血藥
3. 소설풍약疏泄風藥
4. 행기약行氣藥
5. 청열사하약淸熱瀉下藥
Ⅱ. 방제의 육기론적 이해
1. 풍風
2. 화火, 열熱, 서暑
3. 습濕
4. 조燥
5. 한寒
Ⅲ. 오장五臟의 기본방
1. 간肝의 기본방
2. 심心의 기본방
3. 비脾의 기본방
4. 폐肺의 기본방
5. 신腎의 기본방 / 194
Ⅳ. 보약처방의 기본방
1. 대표 처방
2. 보약처방의 기본방 설정원리
제3부 임상편
1장. 보약 진단 실습용 차트
2장. 차트에 따른 진단과 치방
Ⅰ. 외형外形
1. 키와 몸무게
2. 면색
3. 체형․체질
4. 땀
5. 목소리
6. 피부
7. 복
Ⅱ. 내경內景
1. 소화 상태
2. 대변 상태
3. 소변 상태
4. 수면 상태
5. 월경 상태
6. 기왕력과 복용중인 약물
7. 기호
8. 기타 진단 관련사항
1장. 기초이론
Ⅰ. 도론
1. 도론의 형성
2. 도의 상象
Ⅱ. 음양론
1. 음양론의 형성
2. 한의학의 음양론
Ⅲ. 오행론
1. 오행론의 형성
2. 『황제내경』의 오행이론
2장. 응용이론
Ⅰ. 구조론
1. 천지天地․상하上下구조
2. 형기形氣․내외內外구조
3. 수직구조
4. 사상四象구조
Ⅱ. 구성론
1. 정精과 신神, 형形과 신神
2. 영營과 위衛, 영營․위衛․기氣․혈血
3. 정精․기氣․신神
4. 정精․신神․기氣․혈血
제2부 치방편
1장. 진단․치법의 원리
Ⅰ. 심병審病 / 94
Ⅱ. 변증辨證 / 94
Ⅲ. 치료治療 / 95
2장. 진단․치법의 실제
Ⅰ. 보약치방편
1. 보기약補氣藥
2. 보혈약補血藥
3. 소설풍약疏泄風藥
4. 행기약行氣藥
5. 청열사하약淸熱瀉下藥
Ⅱ. 방제의 육기론적 이해
1. 풍風
2. 화火, 열熱, 서暑
3. 습濕
4. 조燥
5. 한寒
Ⅲ. 오장五臟의 기본방
1. 간肝의 기본방
2. 심心의 기본방
3. 비脾의 기본방
4. 폐肺의 기본방
5. 신腎의 기본방 / 194
Ⅳ. 보약처방의 기본방
1. 대표 처방
2. 보약처방의 기본방 설정원리
제3부 임상편
1장. 보약 진단 실습용 차트
2장. 차트에 따른 진단과 치방
Ⅰ. 외형外形
1. 키와 몸무게
2. 면색
3. 체형․체질
4. 땀
5. 목소리
6. 피부
7. 복
Ⅱ. 내경內景
1. 소화 상태
2. 대변 상태
3. 소변 상태
4. 수면 상태
5. 월경 상태
6. 기왕력과 복용중인 약물
7. 기호
8. 기타 진단 관련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