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의 글
서장
1. 독도연구의 역사: 논쟁에서 연구가 시작되다
(1) 한국·일본 양국의 공식견해
(2) 한국의 독도연구사
(3) 일본의 독도연구사
2. 샌프란시스코평화회담과 독도문제
(1) 전후 독도문제와 연원: 샌프란시스코평화회담
(2) 미국 외교문서의 공개와 독도문제의 새로운 연구
3. 연구의 시각·구성·자료
(1) 한·미·일 3국 관계로서의 독도문제
(2) 1947년이라는 시점
(3) 주요 구성
(4) 활용자료
1장 한국 1947년 : 남조선과도정부.조선산악회의 독도조사
1. 독도에서 서울로: 1905년 ''침략''의 재현
(1) 독도의 위기: 일본인의 불법 점거·총격
(2) 서울의 대응: 독도·맥아더라인 위기의 결합
2. 과도 정부·조선산악회의 울릉도·독도 조사
(1) 과도정부의 수색위원회 결성 (2) 조선산악회의 합류 (3) 최초의 독도조사
3. 1947년 독도조사가 남긴 유산
(1) 보고강연회·전람회·조사보고서 (2) 신문·잡지의 보도 (3) 독도 관련 주요 개념·논점·인식의 부상
4. 파랑도와 대마도의 결합
(1) 파랑도: 일본의 또 다른 침략 소문 (2) 입법의원: 대일강화회의 참석·대마도
2장 한국 1948년 : 독도폭격사건과 독도의 재발견.재인식
1. 1948년 독도폭격사건
(1) 독도폭격사건의 발생 (2) 주한미군·극동군사령부의 조사 (3) 소청심사와 배상 (4) 폭격사건의 진상과 쟁점
2. 1948년 한국인들의 독도인식
(1) 국민적 공감대: 독도는 한국 영토 (2) 우국노인회의 청원: 독도·파랑도·대마도의 결합 (3) 미군정의 대일배상요구안과 독도 (4) 대한민국 헌법에 반영된 독도영유권
3장 일본 1947년 : 독도.울릉도는 일본령
1. 일본정부의 평화조약 준비작업(1945~1950)
(1)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1945. 11 ~ 1947. 5): 평화조약 준비작업의 시작
(2) 평화조약각성연락간사회(1947. 5) 설치과 일본정부의 일반원칙논의
(3) 연합국과의 협의(1947. 7) 개시와 정책심의위원회의 설치
(4) 강화방식의 검토: 역코스와 ''사실상의 평화'' 추구정책(1948)
(5) ''단독강화'', ''다수강화''의 선택(1949~1950)
2. 일본의 영토문제 준비대책과 로비
(1) 일본 외무성의 영토문제 준비작업 (2) 영토문제 관련 로비는 있었는가?
3. 1947년 일본 외무성의 책략: 독도·울릉도 자국령 문서 작성 및 홍보
(1) 일본 외무성의 「일본의 부속소도」시리즈 간행
(2) 일본 외무성, 독도·울릉도를 일본의 부속소도로 선언
(3) 1947년 일본 외무성 독도 인식의 연원
4장 미국 1947년 : 리안쿠르암(독도)은 한국령
1. 대일평화회담과 조약 초안의 성립과정
(1) 대일평화조약의 추진·체결 과정 (2) 대일평화조약 초안의 변화과정
2. 대일조약작업단의 조약 준비작업과 독도 인식(1946~1947)
(1) 1946년 대일조약작업단의 립과 조약 초안 (2) 1947년 영토조항의 초안과 수정: 독도는 한국령
5장 미국의 대일평화조약 초안과 독도 인식
1. 미 국무부 조약 초안의 독도 인식 1 (1947~1949): 리앙쿠르암(독도)은 한국령
(1) 1947~1948년 대일조약작업단의 조약 초안과 독도 (2) 1949년 새로운 조약 초안과 독도
2. 미 국무부 조약 초안의 독도 인식 2 (1949~1950): 시볼드의 공작
(1) 1949년 논쟁: 시볼드의 초안 검토와 리앙쿠르암(독도)의 일본령 주장
(2) 주한미대사의 한국 참가 요청
(3) 뒤바뀐 독도영유권(1949. 12~1950)
3. 미 국무부 조약 초안의 독도 인식 3 (1950~1951): 독도조항의 삭제
(1) 존 포스터 덜레스의 등장과 새로운 대일평화조약의 추진
(2) 1950년 8월 7일자 초안: 포츠담 선언 대일영토규정의 폐기
(3) 1950년 9월 11일자 초안: 개정초안
(4) 1950년 9월 11일자 대일평화7원칙: 사라진 영토규정
(5) 1951년 3월 제안용 임시초안(공식초안, 연합국에 송부)
4. 영미합동초안의 성립과 최종 조약문의 확정(1951)
(1) 1951년 5월 3일자 제1차 영미합동초안: 영연방국가에 송부
(2) 1951년 6월 14일자 제2차 영미합동초안: 한국의 연합국 자격 배제·전시 연합국 대일영토규정의 폐기
(3) 1951년 7월 3일자·7월 20일자 제3차 영미합동초안: 관련국 송부
(4) 1951년 8월 13일자 최종초안
6장 영국의 평화조약 초안과 영미협의
1. 영국의 대일평화조약 초안·부속지도의 성립(1951. 3)과 한국 독도영유권의 재확인
(1) 영국 지도의 발굴경위 (2) 영국 조약 초안의 성립과정 (3) 영국 조약 초안의 한국 관련 내용 (4) 영국 지도의 특징과 한국 독도영유권의 재확인
2. 1951년 영미협의와 영토문제·한국문제의 논의
(1) 1951년 3월 영구과 미국의 의견조율 (2) 제1차 영미회담(1951. 4. 25~5. 4)과 한국의 참가·영토 문제의 논의 (3) 제2차 영미회담(1951. 6. 2~14)과 한국의 참가 배제 결정
7장 미국과 일본의 협의 (1951)
1. 1951년 덜레스의 1차 방일과 미일의 주요 조약 협의
(1) 일본의 대일평화7원칙에 대한 대책준비(1950. 11~1951. 1)
(2) 덜레스의 1차 방일(1951. 1~2)과 주요 조약의 사실상 가조인
(3) 미국 조약 초안(1951. 3 임시초안)에 대한 일본정부의 회신(1951. 4. 4)
2. 1951년 덜레스의 2차 방일과 일본의 한국 배제 주장
(1) 덜레스의 계획, 일본의 계획
(2) 영국 초안에 대한 미일협의와 독도문제
(3) 일본의 한국 배제 주장과 무고
8장 한국정부의 대일평화조약 대응과 한미협의 (1951)
1. 1948~1950년 간 한국정부의 대일평화조약 준비
(1) 네 가지 준비의제: 배상·참가·영토·맥아더라인 (2) 맥아더라인의 쟁점화
2. 미국의 대일평화조약 임시초안(제안용)(1951. 3) 수교와 한국정부의 제1차 답신(1951. 4. 27)
(1) 워싱턴·동경의 외교 (2) 서울의 대응: 외교위원회의 구성 (3) 한국정부의 제1차 답신서(1951. 4. 27) 작성과 대마도 반환 요구
(4) 미국 무부의 논평(1951. 5. 9)
3. 대일평화조약 영미합동초안(1951. 7)과 한국정부의 대응
(1) 미국의 한국 조약서명국 자격 부정(1951. 7. 9) (2) 한국의 제2차 답신서(1951. 8. 2) (3) 러스크 서한(1951. 8. 10)과 한미협의의 귀결 (4) 한국측 협상전략의 검토
5. 한국의 비공식 자격 샌프란시스코평화회담 참가
9장 보이지 않는 전투 : ''독도분쟁''의 서막과 한.미.일의 대응
1. 한국의 대응: 평화선과 파랑도·독도 조사
(1) 평화선 속에 포함된 독도 (2) 파랑도조사의 실패 (3) 1952년 한국산악회의 독도조사와 폭격사건 (4) 1953년 한국산악회의 독도조사와 영토표석 설치
2. 본의 대응: 선전과 책략
(1) 1951년 일본의 선전: 독도영유권 주장
(2) 1952~1953년 일본의 책략: 독도 폭격연습장 지정과 해제
(3) 1953년 중반: 독도 침범·일본령 표식 설치
3. 미국의 대응: 적극 개입에서 중립으로의 선회
(1) 1952년 부산·동경·워싱턴의 시작 차이 (2) 1953년 독도 폭격연습장 해제와 한국·일본의 대응 (3) 동경대사관의 개입 주장과 덜레스의 중립 선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표. 그림 목록
서장
1. 독도연구의 역사: 논쟁에서 연구가 시작되다
(1) 한국·일본 양국의 공식견해
(2) 한국의 독도연구사
(3) 일본의 독도연구사
2. 샌프란시스코평화회담과 독도문제
(1) 전후 독도문제와 연원: 샌프란시스코평화회담
(2) 미국 외교문서의 공개와 독도문제의 새로운 연구
3. 연구의 시각·구성·자료
(1) 한·미·일 3국 관계로서의 독도문제
(2) 1947년이라는 시점
(3) 주요 구성
(4) 활용자료
1장 한국 1947년 : 남조선과도정부.조선산악회의 독도조사
1. 독도에서 서울로: 1905년 ''침략''의 재현
(1) 독도의 위기: 일본인의 불법 점거·총격
(2) 서울의 대응: 독도·맥아더라인 위기의 결합
2. 과도 정부·조선산악회의 울릉도·독도 조사
(1) 과도정부의 수색위원회 결성 (2) 조선산악회의 합류 (3) 최초의 독도조사
3. 1947년 독도조사가 남긴 유산
(1) 보고강연회·전람회·조사보고서 (2) 신문·잡지의 보도 (3) 독도 관련 주요 개념·논점·인식의 부상
4. 파랑도와 대마도의 결합
(1) 파랑도: 일본의 또 다른 침략 소문 (2) 입법의원: 대일강화회의 참석·대마도
2장 한국 1948년 : 독도폭격사건과 독도의 재발견.재인식
1. 1948년 독도폭격사건
(1) 독도폭격사건의 발생 (2) 주한미군·극동군사령부의 조사 (3) 소청심사와 배상 (4) 폭격사건의 진상과 쟁점
2. 1948년 한국인들의 독도인식
(1) 국민적 공감대: 독도는 한국 영토 (2) 우국노인회의 청원: 독도·파랑도·대마도의 결합 (3) 미군정의 대일배상요구안과 독도 (4) 대한민국 헌법에 반영된 독도영유권
3장 일본 1947년 : 독도.울릉도는 일본령
1. 일본정부의 평화조약 준비작업(1945~1950)
(1)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1945. 11 ~ 1947. 5): 평화조약 준비작업의 시작
(2) 평화조약각성연락간사회(1947. 5) 설치과 일본정부의 일반원칙논의
(3) 연합국과의 협의(1947. 7) 개시와 정책심의위원회의 설치
(4) 강화방식의 검토: 역코스와 ''사실상의 평화'' 추구정책(1948)
(5) ''단독강화'', ''다수강화''의 선택(1949~1950)
2. 일본의 영토문제 준비대책과 로비
(1) 일본 외무성의 영토문제 준비작업 (2) 영토문제 관련 로비는 있었는가?
3. 1947년 일본 외무성의 책략: 독도·울릉도 자국령 문서 작성 및 홍보
(1) 일본 외무성의 「일본의 부속소도」시리즈 간행
(2) 일본 외무성, 독도·울릉도를 일본의 부속소도로 선언
(3) 1947년 일본 외무성 독도 인식의 연원
4장 미국 1947년 : 리안쿠르암(독도)은 한국령
1. 대일평화회담과 조약 초안의 성립과정
(1) 대일평화조약의 추진·체결 과정 (2) 대일평화조약 초안의 변화과정
2. 대일조약작업단의 조약 준비작업과 독도 인식(1946~1947)
(1) 1946년 대일조약작업단의 립과 조약 초안 (2) 1947년 영토조항의 초안과 수정: 독도는 한국령
5장 미국의 대일평화조약 초안과 독도 인식
1. 미 국무부 조약 초안의 독도 인식 1 (1947~1949): 리앙쿠르암(독도)은 한국령
(1) 1947~1948년 대일조약작업단의 조약 초안과 독도 (2) 1949년 새로운 조약 초안과 독도
2. 미 국무부 조약 초안의 독도 인식 2 (1949~1950): 시볼드의 공작
(1) 1949년 논쟁: 시볼드의 초안 검토와 리앙쿠르암(독도)의 일본령 주장
(2) 주한미대사의 한국 참가 요청
(3) 뒤바뀐 독도영유권(1949. 12~1950)
3. 미 국무부 조약 초안의 독도 인식 3 (1950~1951): 독도조항의 삭제
(1) 존 포스터 덜레스의 등장과 새로운 대일평화조약의 추진
(2) 1950년 8월 7일자 초안: 포츠담 선언 대일영토규정의 폐기
(3) 1950년 9월 11일자 초안: 개정초안
(4) 1950년 9월 11일자 대일평화7원칙: 사라진 영토규정
(5) 1951년 3월 제안용 임시초안(공식초안, 연합국에 송부)
4. 영미합동초안의 성립과 최종 조약문의 확정(1951)
(1) 1951년 5월 3일자 제1차 영미합동초안: 영연방국가에 송부
(2) 1951년 6월 14일자 제2차 영미합동초안: 한국의 연합국 자격 배제·전시 연합국 대일영토규정의 폐기
(3) 1951년 7월 3일자·7월 20일자 제3차 영미합동초안: 관련국 송부
(4) 1951년 8월 13일자 최종초안
6장 영국의 평화조약 초안과 영미협의
1. 영국의 대일평화조약 초안·부속지도의 성립(1951. 3)과 한국 독도영유권의 재확인
(1) 영국 지도의 발굴경위 (2) 영국 조약 초안의 성립과정 (3) 영국 조약 초안의 한국 관련 내용 (4) 영국 지도의 특징과 한국 독도영유권의 재확인
2. 1951년 영미협의와 영토문제·한국문제의 논의
(1) 1951년 3월 영구과 미국의 의견조율 (2) 제1차 영미회담(1951. 4. 25~5. 4)과 한국의 참가·영토 문제의 논의 (3) 제2차 영미회담(1951. 6. 2~14)과 한국의 참가 배제 결정
7장 미국과 일본의 협의 (1951)
1. 1951년 덜레스의 1차 방일과 미일의 주요 조약 협의
(1) 일본의 대일평화7원칙에 대한 대책준비(1950. 11~1951. 1)
(2) 덜레스의 1차 방일(1951. 1~2)과 주요 조약의 사실상 가조인
(3) 미국 조약 초안(1951. 3 임시초안)에 대한 일본정부의 회신(1951. 4. 4)
2. 1951년 덜레스의 2차 방일과 일본의 한국 배제 주장
(1) 덜레스의 계획, 일본의 계획
(2) 영국 초안에 대한 미일협의와 독도문제
(3) 일본의 한국 배제 주장과 무고
8장 한국정부의 대일평화조약 대응과 한미협의 (1951)
1. 1948~1950년 간 한국정부의 대일평화조약 준비
(1) 네 가지 준비의제: 배상·참가·영토·맥아더라인 (2) 맥아더라인의 쟁점화
2. 미국의 대일평화조약 임시초안(제안용)(1951. 3) 수교와 한국정부의 제1차 답신(1951. 4. 27)
(1) 워싱턴·동경의 외교 (2) 서울의 대응: 외교위원회의 구성 (3) 한국정부의 제1차 답신서(1951. 4. 27) 작성과 대마도 반환 요구
(4) 미국 무부의 논평(1951. 5. 9)
3. 대일평화조약 영미합동초안(1951. 7)과 한국정부의 대응
(1) 미국의 한국 조약서명국 자격 부정(1951. 7. 9) (2) 한국의 제2차 답신서(1951. 8. 2) (3) 러스크 서한(1951. 8. 10)과 한미협의의 귀결 (4) 한국측 협상전략의 검토
5. 한국의 비공식 자격 샌프란시스코평화회담 참가
9장 보이지 않는 전투 : ''독도분쟁''의 서막과 한.미.일의 대응
1. 한국의 대응: 평화선과 파랑도·독도 조사
(1) 평화선 속에 포함된 독도 (2) 파랑도조사의 실패 (3) 1952년 한국산악회의 독도조사와 폭격사건 (4) 1953년 한국산악회의 독도조사와 영토표석 설치
2. 본의 대응: 선전과 책략
(1) 1951년 일본의 선전: 독도영유권 주장
(2) 1952~1953년 일본의 책략: 독도 폭격연습장 지정과 해제
(3) 1953년 중반: 독도 침범·일본령 표식 설치
3. 미국의 대응: 적극 개입에서 중립으로의 선회
(1) 1952년 부산·동경·워싱턴의 시작 차이 (2) 1953년 독도 폭격연습장 해제와 한국·일본의 대응 (3) 동경대사관의 개입 주장과 덜레스의 중립 선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표. 그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