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아름다움│도원(桃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Ⅰ. 진경산수화론
1. 보고 그리기와 기억으로 그리기│진경산수화의 시방식과 화각
 · 시작하며
 · 실경을 닮게 혹은 닮지 않게
 · 기억에 의존해 그린 화가
 · 실경 현장에서 그린 화가
 · 마치며

2.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한국산수화의 모태
 · 시작하며
 · 민족예술을 풍요롭게 한 절경이자 영산
 · 금강산 형상 표현은 문학보다 그림이 낫다
 · 닮은 것과 닮지 않은 것, 정선의 금강산 그림
 · 진경산수화의 확산 : 정선 일파와 문인화가의 금강산 그림
 · 현장사생의 맛을 살린 김홍도의 금강산 그림
 · 마치며

3. 20세기의 금강산 그림│현장에서 그린 사생화와 기억으로 담은 追想畵
 · 시작하며
 · 금강산의 관광지 개발과 대중화
 · 20세기 전반의 금강산 사생화
 · 20세기 후반 금강산 추상화
 · 마치며

4. 고지도의 회화성│대지를 그리는 또 하나의 시작
 · 시작하며
 · 지도와 회화
 · 축척지도에 표현된 경물도형의 회화성
 · 조선 후기 그림지도의 유형과 화풍
 · 마치며

Ⅱ. 우리 땅을 그린 화가들
5. 겸재 정선│조선 진경산수화의 완성자
- <박연폭도> : 정선의 실경 표현방식
 · 시작하며
 ·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두 가지 유형
 · 정선의 세 가지 실경 표현방식
 · 박연폭이 창출한 시와 음악과 회화
 · <박연폭도>의 표현방식
 · 마치며
- <쌍도정도>: 양필법과 연록담채로 풀어낸 초기 진경화풍
 · 시작하며
 · 정선의 사십대 행적과 작품 제작 시기
 · 쌍도정의 위치와 <쌍도정도>의 화풍
 · 실경사생법의 전통과 정선 화풍의 형성
 · 마치며

6. 진재 김윤겸│겸재 일파의 선도작가
 · 시작하며
 · 김윤겸의 가계와 행적
 · 김윤겸의 진경 작품세계
 · 마치며

7. 지우재 정수영│지도자 집안이 배출한 개성적 사생화가
 · 시작하며
 · 정수영의 가계와 생몰연대
 · 정수영의 진경 작품세계
 · 마치며

8. 단원 김홍도│정선과 쌍벽을 이룬 진경 작가
- 김홍도의 진경산수 : 사실적으로 그린 명승과 일상풍경
 · 시작하며
 · 김홍도의 활동과 회화 경향
 · 진경산수
 · 사경산수
 · 마치며
- 김홍도 화풍의 여운 : 이풍익의 《동유첩》에 실린 금강산 그림들
 · 시작하며
 · 《동유첩》의 탄생 배경과 여정
 · 《동유첩》에 실린 작품들과 기행시문의 감명
 · 마치며

9. 설탄 한시각│진경산수의 선례 17세기 함경도 실경 그림들
 · 시작하며
 · 한시각의 집안과 활동
 · 《북새선은도권》의 과거시험 행사도
 · 《북관수창록》의 실경도
 · 마치며

10. 동회 신익성│인조 시절의 사생론과 실경화 <백운루도>
 · 시작하며
 · 17세기 문예사에서 신익성의 위치
 · 서화 취미와 사생론
 · 《백운루첩》의 <백운루도>
 · 마치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