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를 발간하며 / 김찬동
둥지의 예술철학 / 박이문
강의를 시작하며
1강│미학과 예술철학
1. 미학과 예술학
2. 미학의 문제
3. 예술의 문제
2강│예술의 전통적 정의 및 단토의 예술정의 비판
1. 전통적·전형적 정의
2. 근대적 예술관
3. 워홀의 [브릴로 상자]와 아서 단토의 예술의 정의
4. 단토의 정의에 대한 비판
3강│예술작품의 양태적 정의
1. 예술작품의 비시각적 존재론적 구조
4강│예술작품의 구조적 모델로서의 둥지
1. 순수예술과 비순수예술
2. 좁은 뜻 즉 순수한 예술의 특수성
3. 영원한 둥지 리모델 작업으로서의 예술작업
강의를 마치며
예술적 상상력과 동양의 사고 / 임태승
1,2강│동아시아 미학의 구조와 성격
1. 동아시아 미학범주
2. 사의상징
3. 도상해석학아이콘과 코드시각 이데올로기
3,4강│동아시아 미학의, 디지털 미학을 위한 제언
1. 디지털 미학의 특성
2. 디지털 미학의 문제와 한계
3. 동아시아 미학의 알고리즘
4. 동아시아 미학이 디지털 미학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현대미술과 철학의 이중주 / 이광래
1강│미술과 동일성 신화
1. 동일성, 그 신화와 역사
2. 미술과 동일성 신화
2강│차이의 철학과 차이의 미술
1. 차이의 발견
2. 차이의 생산
3강│엔드게임으로서 현대미술
1. 엔드게임하는 미술사
2. 엔드게임의 방법적 특징
4강│미술의 종말과 그 이후
1. ‘이게 미술이야!?’
2. 미술의 종말과 그 이후
철학의 눈으로 본 매체 / 조광제
1강│근대의 매체 변화와 의식 및 사회 변화
1. 거울
2. 구텐베르크 은하계 _ 책의 시대
2강│매체로 본 탈근대의 시작
1. 사진술
2. 영화
3강│고도과학기술에 나타난 매체의 혁명
1. 가상현실
2. 유비쿼터스적인 제3공간
4강│전자공간의 형이상학
1. 디지털 _ 컴퓨터 세계의 형이상학
2. 존재 질서의 재편 _ 사이버 전자공간의 등장
3. 인터넷의 지배와 정체성 변화
4. 인터넷 전자공간과 포스트모더니즘
찾아보기
둥지의 예술철학 / 박이문
강의를 시작하며
1강│미학과 예술철학
1. 미학과 예술학
2. 미학의 문제
3. 예술의 문제
2강│예술의 전통적 정의 및 단토의 예술정의 비판
1. 전통적·전형적 정의
2. 근대적 예술관
3. 워홀의 [브릴로 상자]와 아서 단토의 예술의 정의
4. 단토의 정의에 대한 비판
3강│예술작품의 양태적 정의
1. 예술작품의 비시각적 존재론적 구조
4강│예술작품의 구조적 모델로서의 둥지
1. 순수예술과 비순수예술
2. 좁은 뜻 즉 순수한 예술의 특수성
3. 영원한 둥지 리모델 작업으로서의 예술작업
강의를 마치며
예술적 상상력과 동양의 사고 / 임태승
1,2강│동아시아 미학의 구조와 성격
1. 동아시아 미학범주
2. 사의상징
3. 도상해석학아이콘과 코드시각 이데올로기
3,4강│동아시아 미학의, 디지털 미학을 위한 제언
1. 디지털 미학의 특성
2. 디지털 미학의 문제와 한계
3. 동아시아 미학의 알고리즘
4. 동아시아 미학이 디지털 미학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현대미술과 철학의 이중주 / 이광래
1강│미술과 동일성 신화
1. 동일성, 그 신화와 역사
2. 미술과 동일성 신화
2강│차이의 철학과 차이의 미술
1. 차이의 발견
2. 차이의 생산
3강│엔드게임으로서 현대미술
1. 엔드게임하는 미술사
2. 엔드게임의 방법적 특징
4강│미술의 종말과 그 이후
1. ‘이게 미술이야!?’
2. 미술의 종말과 그 이후
철학의 눈으로 본 매체 / 조광제
1강│근대의 매체 변화와 의식 및 사회 변화
1. 거울
2. 구텐베르크 은하계 _ 책의 시대
2강│매체로 본 탈근대의 시작
1. 사진술
2. 영화
3강│고도과학기술에 나타난 매체의 혁명
1. 가상현실
2. 유비쿼터스적인 제3공간
4강│전자공간의 형이상학
1. 디지털 _ 컴퓨터 세계의 형이상학
2. 존재 질서의 재편 _ 사이버 전자공간의 등장
3. 인터넷의 지배와 정체성 변화
4. 인터넷 전자공간과 포스트모더니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