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며 파란 장미

프롤로그 생명현상이란 무엇인가
우울한 보스
노벨상이냐 억만장자냐
생명현상이란 무엇인가

제1장 뇌에 장착된 ‘편견’
사람은 왜 ‘착오’를 일으키는가

크릭의 마지막 도전 테마
기억물질을 찾기 위한 엥거 박사의 노력
기억이란 무엇인가
정보전달물질 펩티드의 암호
시간 도둑의 정체
인간의 뇌에 고착된 편견
‘보이는 사람’과 ‘보이지 않는 사람’
착각을 넣는 메커니즘
왜 배워야 하는가

제2장 당신은 ‘당신이 먹은 것’ 이다
소화=정보의 해체

뼈는 곧 당신이 섭취한 음식이다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음식
위의 내부는 ‘신체의 외부’
인간은 생각하는 편이다
생명활동이란 아미노산 배열의 헤쳐 모여
콜라겐 첨가 식품의 허상
‘머리가 좋아지는’ 식품?
중국집 증후군

제3장 다이어트의 과학
분자생물학이 말하는 ‘살찌지 않게 먹는 법’

폭식과 조금씩 자주 먹기
자연계는 시그모이드 곡선
‘살이 찌는’메커니즘
지방으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과정
인슐린을 제어하라!
‘기아’, 인류 700만 년의 역사
과유불급

제4장 그걸 먹나요?
부분만 보는 사람들의 위험

소비자에게도 책임은 있다
안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사람들
장대한 인체 실험
탐욕스러운 바이오테크놀로지 기업
유전자 조작 작물의 대의명분
‘파란 장미’의 교훈
전체는 부분의 총화가 아니다

제5장 생명은 시계장치인가?
만능세포의 신비

생명의 구조를 밝히는 방법
단백질 설계도의 재설계
수정란을 ‘정지’ 시키는 방법은 없는가
‘분위기 파악 못하는’ 세포
암세포와 만능세포의 공통점
녹아웃 마우스의 완성
‘에비스마루 1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만능세포는 재생의학의 히든카드?

제6장 사람과 병원체의 싸움
끝없는 숨바꼭질

옮는 병과 옮지 않는 병
세균학의창시자 로베르트 코흐
종의 차이란 무엇인가?
카니발리즘을 기피하는 이유
‘여과성 병원체’의 발견
자기복제능력을 갖는 ‘물질’
종을 넘나드는 바이러스
수수께끼의 병원체
이상형 프리온 단백질은 흔적이다?

제7장 미토콘드리아 미스터리
모계로만 계승되는 에너지 산출의 근원

우리 체내의 또 다른 생물
포스의 원천
15번 퇴짜 맞은 논문
엽록체도 별개의 생물이었다
‘삼켜졌다’는 흔적
미토콘드리아 DNA를 활용한 범죄 조사
아프리카에 존재했던 전 인류의 공통 태모

제8장 생명은 분자가 ‘머무르는‘ 상태
쇤하이머가 시사한 것은 무엇인가

테카르트의 ‘죄’
가변적이며 지속 가능한
‘동적평형’이란 무엇인가
많은 실패가 의미하는 것은
안티 안티에이징
왜 사람은 소용돌이에 휘말리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