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나는 왜 이런 수상한 제목의 책을 쓰게 되었을까?

제1장. 아부와 아첨에 대한 오해
아부는 나쁜 짓이다?
아부의 구조와 부정적 의미의 재생산
태초에 아부가 있었다! 
소크라테스와 아부 혹은 아첨의 관계
공자와 아부 혹은 아첨
셰익스피어와 아첨과 칭찬과 겸손의 문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뒤집어 보면 아부론이다!
니체의 권력론도 뒤집어 보면 아부론이다!

제2장. 도덕주의와의 결별
도덕주의에 도덕 없다
도덕주의의 원조, 공자를 위한 변명
도덕주의의 위험성
도덕주의는 위선(僞善)이다

제3장. 본능과 욕망으로서의 아부 
생존본능으로서의 아부와 아첨
욕망으로서의 아첨
아첨은 안 하는 것일까? 못하는 것일까?
아부는 노예근성의 발로라는 비난에 대하여
세파(世波)와 나이에 따른 아부와 아첨의 긍정

제4장. 전통사회에서 아부의 문제
조선 건국과 아부파와 독립파의 대립
아부에 능하지 못했던 황희 정승
정변(政變) 때 아부는 생사의 문제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성종 때의 군자 소인 논쟁
군자, 소인 그리고 아첨
충신, 간신 그리고 아첨
신라 때도 아첨에 대한 경계가 있었다 : 설총의 [화왕계(花王戒)]

제5장. 현대 한국사회와 아부 
현대인들의 착각
이기심의 긍정과 아부 혹은 아첨
아부와 자유
아부 혹은 아첨과 개인의 책임
체면사회 ‘대한민국’에서의 아부와 아첨
사대(事大)와 자주(自主)

제6장. 아부와 리더십
아부와 리더십
아첨과 리더십
리더란 무엇으로 사는가?
아부와 배신 그리고 리더십
뛰어난 리더는 아첨을 싫어한다?
리더의 딜레마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조언
리더의 아첨, 포퓰리즘
배신을 부르는 리더의 자충수, 면박(面駁)

제7장. 아첨의 스펙트럼
친절·공손과 아첨
애교(愛嬌)와 아첨
감언이설(甘言利說)과 아첨
교언영색(巧言令色)과 아첨
곡학아세(曲學阿世)와 아첨
비굴과 아첨
아첨으로서의 침묵
아첨을 대하는 지도자의 덕목 : 영음찰리 감모변색(聆音察理 鑑貌辨色)

제8장. 아첨의 위험성
이승만에게서 모든 것을 앗아간 주변의 아첨
아첨이 참소로 이어지면 동료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는다
자기파멸로 끝난 진복창의 아첨

에필로그 : 위선과 위악을 동시에 깨는 망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