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프롤로그-사랑, 그 행복과 비극 사이에서

망각,동양철학의 가능성
1.기억에서 망각으로
2.니체에 있어서 망각의 의미
3.들뢰즈와 장자를 가로지르며
4.중국철학에 있어서 망각의 의미
5.동양적 사유, 그 가능성의 중심

관조의 미학에서 창조의 미학으로
1.아름다움에서 숭고로
2.구멍, 바람 그리고 바람소리
3.울림을 내기 위해서
4.비움 뒤에 남는 것
5.마주침과 창조의 미학
6.장자 미학의 가능성

인테르메조
장자로부터 백남준으로 혹은 백남준으로부터 장자로
1.조삼모사 이야기의 숨겨진 논리
2.장자의 ''허심''그리고 백남준의 ''황홀''
3.아이, 새로움 그리고 창조

호접몽으로 장자가 말하려고 했던 것
1.[장자]에서 가장 중요한 이야기
2.송나라 상인의 아찔한 경험
3.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두가지 것
4.호접몽 이야기의 비밀
5.장자가 우리에게 말하고 했던 것

잃어버린 시간과 타자를 찾아서
1.시간을 없애라!
2.베르그손과 사르트르의 시간론
3.레비나스,되찾은 시간
4.레비나스를 넘어서 장자로
5.유아론적 시간의식을 넘어서

에필로그-사랑과 기쁨의 삶을 꿈꾸며

쟁점과 핵심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