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은이의 말
01 서론
1부 제도화 된 기억
02 미국 교과서의 1,2차 대전과 베트남 전쟁 기억 만들기
-세권의 미국 역사교과서
-미국의 역사전쟁:기억 투쟁
-미국사 교화서가 전유한 1,2차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의 기억
-역사 교육의 헤게모니를 둘러싼 기억 투쟁
03 프랑스 역사 교과서의 1,2차 대전과식민지 전쟁의 기억과 전수
-역사 교과서와 기억의 사회화
-프랑스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1,2차 대전과 복원이 정치학
-식민지 전쟁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
-과거로의 회귀?
04 기념의 왕국 프랑스의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알제리전쟁의 기억 만들기
-기억의 지형도
-역사, 기억, 기념: 프랑스 입장에서 살펴보기
-기념기관(기념을 관장하는 기관)의 복잡성
-한국,베트남,알제리:교과서의 완곡 어법
-과거의 법제화
05 일본의 러일러전쟁 100주년 기념과 네오내셔널리즘
-기념의 정치학
-전쟁기념의 상품화와 대중화
-기념식과 종적 기억의 형성
-국가적 현창과 개인적 푸모의 장
-러일러전쟁의 기념과 ''J국가주의''
06 독일과 일본의 2차 대전 기억문화
-과거청산에서 독일은 우등생, 일본은 지진아인가?
-비교의 전제와 기준
-아우슈비츠와 난징:전생범죄와 반 인도 범죄에 대한 기억
-뉘른베르트 재판과 도쿄 재판:전범들에 대한기억
-위령에서 애도로:전쟁 희생자에 대한 기념의 변화
-변화해가는 독일과 일본의 기억문화
07''극장국가''로서 제1공과 국과 기념의 균열
-국가 만들기와 기념
-오직, 이승만을 기념하다
-표상의 과잉과 균열:뉴스영화 파문
-전후 제1공화국의 불안과 ''청년 이승만'' 서사
-마지막 무대
2부 트라우마 공간
08 9?11기념공간의 탈 역사화와 미국의 예외주의 신화
-9?11담론과 미국의 예외주의
-WTC재개발
-연성기념의 가능성?:덜 공식적인 기억의 공간들
-예외주의의 트라우마
09 ''야스쿠니''와 ''히로시마''
-독일에서의 기념비-사자국민국가
-서독에서의 국민 형성
-전후 일보네서의 추도와 모뉴먼트
-히로시마와 전후 국민
-전후의 종언과 ''야스쿠니 문제''
10 상품화된 기억:전후 일본의 정쟁기억과 영화「로렐라이」
-기억과 역사
-일본 은막에 비춰진 전쟁기억의 역사
-영화(로렐라이)와 전 후세대의 전쟁기억
-망각의 주술(로렐라이)
11 상실된 전쟁의 기억:월경의 트라우마와 조선인들의 만주 탈출1945~1950
-최초의 전후 한일 베스트셀러
-뒤얽힌 역사의 파편들
-상실된 민주의 기억을 발굴하며
-낙토 만주에서의 추방
-제국의 양면적 기억
-동아시아 공감대의 잊혀진 초석
12 한국전쟁 기념의 주변인들:한국전쟁 반공포로
-기념되지 않는 반공신화
-''인만''에서 ''국민''으로:반공투쟁신화의 탄생
-기념의 과잉과 균열:멸공전사 또는 위험한 국민
-기념의 체계화와 반공투쟁신화의 위계화
-새로운 기념담론:성찰과 재전유 사이에서
13 학살과 내전, 공간적 재현과 담론적 채현의 간극:거창사건 추모공원의 공간분석
-전쟁의 기념과 학살의 기억
-거창사건을 둘러싼 진실의 정치학
-공간적 재현과 담론적 재현의 괴리
-정치적 타협과 봉합된 진실
-탈냉전과 분단체제 사이에 놓인 기억의 정치
3부 재현의 가능성
14 우울에서 해도로:안젤름 키퍼의 미술 작품에 나타나는 역사적 트라우마
-미술사의 경계를 넘어
-''행동화''와 성찰 사이에서
-트라우마 증상으로서의 미술
-트라우마의 재현을 위하여
-작품세계의 변천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예술의 가능성
15 프랑스 방데 퓌뒤푸:국가기억 대 민간기억의 갈등과 대안적 기억문화
-방데를 통해 대안적 기억문화를 모색하기
-방데전쟁에 대한 기억의 갈등
-반혁명인가? 대항혁명인가?
-퓌뒤푸의 대안적 기억문화
-대안적 기억문화의 조건
16 전쟁-서사와 기억-서사:조은희「침묵으로 지은 집」
-전쟁의 기억,기억의 소설화
-미디어,잠재된 기억을 불러내기
-매개된 기억의 고고학
-단어의 기억, 단어의 트라우마
-침묵과 가정법으로 사는 사람들
-말하게 하기, 넋두리의 사회학
-해원의 문학을 위하여
17 전쟁상흔의 사회적 치유를 위한 시선의 전환과 공간의 변화
:한국에서의 전쟁기념물을 중심으로
-전쟁기념물과 전쟁상흔의 치유
-전사자의 추모와 전장의 기억
-전쟁의 상흔에 대한 국가의 시선 확장
-전쟁상흔에 대한 국가의 시선 균열과 재구성
-전쟁상흔의 치유를 위한 정쟁기념물의 과제
01 서론
1부 제도화 된 기억
02 미국 교과서의 1,2차 대전과 베트남 전쟁 기억 만들기
-세권의 미국 역사교과서
-미국의 역사전쟁:기억 투쟁
-미국사 교화서가 전유한 1,2차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의 기억
-역사 교육의 헤게모니를 둘러싼 기억 투쟁
03 프랑스 역사 교과서의 1,2차 대전과식민지 전쟁의 기억과 전수
-역사 교과서와 기억의 사회화
-프랑스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1,2차 대전과 복원이 정치학
-식민지 전쟁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
-과거로의 회귀?
04 기념의 왕국 프랑스의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알제리전쟁의 기억 만들기
-기억의 지형도
-역사, 기억, 기념: 프랑스 입장에서 살펴보기
-기념기관(기념을 관장하는 기관)의 복잡성
-한국,베트남,알제리:교과서의 완곡 어법
-과거의 법제화
05 일본의 러일러전쟁 100주년 기념과 네오내셔널리즘
-기념의 정치학
-전쟁기념의 상품화와 대중화
-기념식과 종적 기억의 형성
-국가적 현창과 개인적 푸모의 장
-러일러전쟁의 기념과 ''J국가주의''
06 독일과 일본의 2차 대전 기억문화
-과거청산에서 독일은 우등생, 일본은 지진아인가?
-비교의 전제와 기준
-아우슈비츠와 난징:전생범죄와 반 인도 범죄에 대한 기억
-뉘른베르트 재판과 도쿄 재판:전범들에 대한기억
-위령에서 애도로:전쟁 희생자에 대한 기념의 변화
-변화해가는 독일과 일본의 기억문화
07''극장국가''로서 제1공과 국과 기념의 균열
-국가 만들기와 기념
-오직, 이승만을 기념하다
-표상의 과잉과 균열:뉴스영화 파문
-전후 제1공화국의 불안과 ''청년 이승만'' 서사
-마지막 무대
2부 트라우마 공간
08 9?11기념공간의 탈 역사화와 미국의 예외주의 신화
-9?11담론과 미국의 예외주의
-WTC재개발
-연성기념의 가능성?:덜 공식적인 기억의 공간들
-예외주의의 트라우마
09 ''야스쿠니''와 ''히로시마''
-독일에서의 기념비-사자국민국가
-서독에서의 국민 형성
-전후 일보네서의 추도와 모뉴먼트
-히로시마와 전후 국민
-전후의 종언과 ''야스쿠니 문제''
10 상품화된 기억:전후 일본의 정쟁기억과 영화「로렐라이」
-기억과 역사
-일본 은막에 비춰진 전쟁기억의 역사
-영화(로렐라이)와 전 후세대의 전쟁기억
-망각의 주술(로렐라이)
11 상실된 전쟁의 기억:월경의 트라우마와 조선인들의 만주 탈출1945~1950
-최초의 전후 한일 베스트셀러
-뒤얽힌 역사의 파편들
-상실된 민주의 기억을 발굴하며
-낙토 만주에서의 추방
-제국의 양면적 기억
-동아시아 공감대의 잊혀진 초석
12 한국전쟁 기념의 주변인들:한국전쟁 반공포로
-기념되지 않는 반공신화
-''인만''에서 ''국민''으로:반공투쟁신화의 탄생
-기념의 과잉과 균열:멸공전사 또는 위험한 국민
-기념의 체계화와 반공투쟁신화의 위계화
-새로운 기념담론:성찰과 재전유 사이에서
13 학살과 내전, 공간적 재현과 담론적 채현의 간극:거창사건 추모공원의 공간분석
-전쟁의 기념과 학살의 기억
-거창사건을 둘러싼 진실의 정치학
-공간적 재현과 담론적 재현의 괴리
-정치적 타협과 봉합된 진실
-탈냉전과 분단체제 사이에 놓인 기억의 정치
3부 재현의 가능성
14 우울에서 해도로:안젤름 키퍼의 미술 작품에 나타나는 역사적 트라우마
-미술사의 경계를 넘어
-''행동화''와 성찰 사이에서
-트라우마 증상으로서의 미술
-트라우마의 재현을 위하여
-작품세계의 변천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예술의 가능성
15 프랑스 방데 퓌뒤푸:국가기억 대 민간기억의 갈등과 대안적 기억문화
-방데를 통해 대안적 기억문화를 모색하기
-방데전쟁에 대한 기억의 갈등
-반혁명인가? 대항혁명인가?
-퓌뒤푸의 대안적 기억문화
-대안적 기억문화의 조건
16 전쟁-서사와 기억-서사:조은희「침묵으로 지은 집」
-전쟁의 기억,기억의 소설화
-미디어,잠재된 기억을 불러내기
-매개된 기억의 고고학
-단어의 기억, 단어의 트라우마
-침묵과 가정법으로 사는 사람들
-말하게 하기, 넋두리의 사회학
-해원의 문학을 위하여
17 전쟁상흔의 사회적 치유를 위한 시선의 전환과 공간의 변화
:한국에서의 전쟁기념물을 중심으로
-전쟁기념물과 전쟁상흔의 치유
-전사자의 추모와 전장의 기억
-전쟁의 상흔에 대한 국가의 시선 확장
-전쟁상흔에 대한 국가의 시선 균열과 재구성
-전쟁상흔의 치유를 위한 정쟁기념물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