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익, 1681∼1763
다식 / 다시 

신유한, 1675∼1728
일본의 다례 

이광사, 1705∼1777
내도재기 

이상정, 1710∼1781
도언 김종덕에게 답하다 

신광수, 1712∼1775
성천 생원 원형에게 

안정복, 1712∼1791
수다설 

이덕리, 1728∼?
기다 

황윤석, 1729∼1791
부풍향다보 

홍대용, 1731∼1783
 중국의 음식 문화 / 조선의 음식 문화 

유득공, 1748∼1807
차의 대용품 

유만주, 1755∼1788
중국에서 황제에게 바치는 납차·중국 차의 유래와 종류·순채국과 차 

빙허각 이씨, 1759∼1824
다품 

정약용, 1762∼1836
 차의 생산과 판매 / 승려 아암에게 차 주기를 청하는 편지 / 혜장의 병풍에 쓴다 / 차의 명칭 / 차의 전매 제도 / 차의 전매와 민고 / 다신계 절목 / 윤종삼·윤종진에게 말해주노라 

윤형규, 1763∼1840
다설 

서유구, 1764∼1845
 차 / 다공 / 다구 

이학규, 1770∼1835
감찰다시 

혜장, 1772∼1811
금호에게 보낸 답장 

정학연, 1783∼1859
차의 재배와 저장 

초의, 1786∼1866
홍현주에게 바친다 / 완당 김정희에게 바치는 제문 / 다신전 

김정희, 1786∼1856
이재 권돈인에게(제17신) / 오경석에게(제4신) / 초의에게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1신)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3신) 

김명희, 1788∼1857
찻잎을 따서 덖는 방법 

김경선, 1788∼1853
음식 

이규경, 1788∼1856
도다변증설 / 차, 율무, 청양을 심는 것에 대한 변증설 / 개다와 죽로차 

이상적, 1803∼1865
용단승설을 적다 

최한기, 1803∼1879
음식의 훈증 

조재삼, 1808∼1866
황차 / *황차 관련 기록 

이유원, 1814∼1888
다시청 

신헌구, 1823∼1902
해다설 

김윤식, 1835∼1922
차 주발 / 이홍장과의 담화 / 정약용과 강진 차 / 내아문 포시 

승정원일기
흑색 작설차를 봉납한 일 / 청차와 우전차의 효능 / 우전차의 효능 / 작설차의 효능 / 삼남의 작설차 / 작설차의 복용법 

조선왕조실록
중국 작설차를 봉진함 / 다례에 쓰던 인삼차 / 인정전에서 행하던 다례 / 대마도 사람들의 차 애호 / 사적으로 차를 거래하는 것에 대한 법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