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사항
Ⅰ. 병렬영상(parallel imaging)
1 SENSE 2
2 기준스캔(reference scan) 11
3 CLEAR/PURE 16
4 EXPAND에 의한 위신호 인공물(aliasing artifact) 저감 18
5 임상응용 20
6 mSENSE와 GRAPPA 26
Ⅱ. 고속스핀에코
1 Hyperecho, TRAPS 32
2 Hyperecho 38
3 PROPELLER 44
4 HASTE와 RARE 48
Ⅲ. 항정상태 경사에코
1 결집형 경사에코(coherent GRE): 원리 51
2 결집형 경사에코: 항정상태와 이행기 57
3 결집형 경사에코: 임상응용 59
Ⅳ. 고해상능/고속 경사에코
1 THRIVE/VIBE 63
2 나선형스캔(spiral scan) 67
3 k-t BLAST 72
4 EC-TRICKS: 적절한 촬영 시점을 놓치지 않는 높은 공간해상도 76
5 VIBRANT 78
6 ECVO 80
7 efgre3d 90
Ⅴ. 운동보정(motion correction) 외
1 네비게이터(navigator) 에코 96
2 PACE 98
3 자가동기법(Self Gated) 106
4 비누거품(soap bubble)식 MIP 108
5 ProSet 110
6 밴드 폭 114
7 Phoenix/AutoAlign 119
Ⅵ. 하드웨어 개발동향 등
1 3 Tesla MRI 122
2 Tim: Total imaging matrix 126
3 MR 유도 집속초음파요법(MR-guided FUS) 130
4 주입기 개발동향 132
5 단축갠트리(short Gantry)의 특징 138
6 Pianissimo 140
7 조영제 개발의 동향 142
임상응용
Ⅰ. 액체영상(hydrography)
1 개론 156
2 MR담췌관촬영술(MRCP)의 화질향상을 위한 노력 160
3 MRCP의 함정 166
4 MRCPA(MR담췌혈관촬영술, MR cholangiopancreatoangiography) 172
5 MR 요로촬영술(MR urography) 174
6 MR 복강촬영술(MR peritoneography) 184
7 MR 뇌수조촬영술(cisternography), MR 척수촬영술(myelography) 188
8 MR 태아양수촬영술(amniofetography) 192
Ⅱ. MR 현미경
1 MR 현미경 196
2 현미경 코일을 이용한 고해상 MR 유방촬영술(HR-MRM) 198
3 피부의 현미경 영상(microscopy imaging) 202
Ⅲ. 뇌
1 확산강조영상: 개론 204
2 확산영상: 급성기 뇌경색 208
3 확산강조영상: 기타 224
4 확산 텐서 228
5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RI) 235
6 MRDSA 241
7 양자밀도강조영상과 FLAIR 243
8 T2R과 STIR 246
Ⅳ. 복부 확산강조영상
1 복부에서의 높은 b값의 유용성 248
2 낮은 b값의 유용성 251
3 유방 및 직장의 확산강조영상 254
4 전립선에서의 확산강조영상 258
5 몸통부의 광범위 확산강조영상 260
6 동체코일(body coil)을 이용한 구간부 확산강조영상 270
Ⅴ. 폐
1 개론 272
2 관류(perfusion) 영상 276
3 환기(ventilation) 영상 282
4 산소증강(oxygen-enhanced) MRI의 실제 284
5 관류 MRI의 실행과 해석 287
Ⅵ. 소화관
1 개론 292
2 위 296
3 소장폐색 296
Ⅶ. SPIO
1 SPIO 306
2 FRFSE 대열과 SPIO 323
Ⅷ. 심장, 혈관, 전신
1 관상동맥 MRA 325
2 전체 심장 관상동맥 MRA 329
3 심근허혈과 경색의 진단 331
4 혈관벽 영상(플라크 영상) 338
5 이동테이블 MRI 340
6 다단계테이블(stepping-table) MRA 342
7 경부 조영 MRA 350
8 MR 정맥촬영-2D TOF 호흡보정 병용 354
9 Fresh Blood Imaging(FBI)과 Flow-Spoiled FBI 356
10 약물저장소(reservoir) 조영 MRI 360
색인 368
Ⅰ. 병렬영상(parallel imaging)
1 SENSE 2
2 기준스캔(reference scan) 11
3 CLEAR/PURE 16
4 EXPAND에 의한 위신호 인공물(aliasing artifact) 저감 18
5 임상응용 20
6 mSENSE와 GRAPPA 26
Ⅱ. 고속스핀에코
1 Hyperecho, TRAPS 32
2 Hyperecho 38
3 PROPELLER 44
4 HASTE와 RARE 48
Ⅲ. 항정상태 경사에코
1 결집형 경사에코(coherent GRE): 원리 51
2 결집형 경사에코: 항정상태와 이행기 57
3 결집형 경사에코: 임상응용 59
Ⅳ. 고해상능/고속 경사에코
1 THRIVE/VIBE 63
2 나선형스캔(spiral scan) 67
3 k-t BLAST 72
4 EC-TRICKS: 적절한 촬영 시점을 놓치지 않는 높은 공간해상도 76
5 VIBRANT 78
6 ECVO 80
7 efgre3d 90
Ⅴ. 운동보정(motion correction) 외
1 네비게이터(navigator) 에코 96
2 PACE 98
3 자가동기법(Self Gated) 106
4 비누거품(soap bubble)식 MIP 108
5 ProSet 110
6 밴드 폭 114
7 Phoenix/AutoAlign 119
Ⅵ. 하드웨어 개발동향 등
1 3 Tesla MRI 122
2 Tim: Total imaging matrix 126
3 MR 유도 집속초음파요법(MR-guided FUS) 130
4 주입기 개발동향 132
5 단축갠트리(short Gantry)의 특징 138
6 Pianissimo 140
7 조영제 개발의 동향 142
임상응용
Ⅰ. 액체영상(hydrography)
1 개론 156
2 MR담췌관촬영술(MRCP)의 화질향상을 위한 노력 160
3 MRCP의 함정 166
4 MRCPA(MR담췌혈관촬영술, MR cholangiopancreatoangiography) 172
5 MR 요로촬영술(MR urography) 174
6 MR 복강촬영술(MR peritoneography) 184
7 MR 뇌수조촬영술(cisternography), MR 척수촬영술(myelography) 188
8 MR 태아양수촬영술(amniofetography) 192
Ⅱ. MR 현미경
1 MR 현미경 196
2 현미경 코일을 이용한 고해상 MR 유방촬영술(HR-MRM) 198
3 피부의 현미경 영상(microscopy imaging) 202
Ⅲ. 뇌
1 확산강조영상: 개론 204
2 확산영상: 급성기 뇌경색 208
3 확산강조영상: 기타 224
4 확산 텐서 228
5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RI) 235
6 MRDSA 241
7 양자밀도강조영상과 FLAIR 243
8 T2R과 STIR 246
Ⅳ. 복부 확산강조영상
1 복부에서의 높은 b값의 유용성 248
2 낮은 b값의 유용성 251
3 유방 및 직장의 확산강조영상 254
4 전립선에서의 확산강조영상 258
5 몸통부의 광범위 확산강조영상 260
6 동체코일(body coil)을 이용한 구간부 확산강조영상 270
Ⅴ. 폐
1 개론 272
2 관류(perfusion) 영상 276
3 환기(ventilation) 영상 282
4 산소증강(oxygen-enhanced) MRI의 실제 284
5 관류 MRI의 실행과 해석 287
Ⅵ. 소화관
1 개론 292
2 위 296
3 소장폐색 296
Ⅶ. SPIO
1 SPIO 306
2 FRFSE 대열과 SPIO 323
Ⅷ. 심장, 혈관, 전신
1 관상동맥 MRA 325
2 전체 심장 관상동맥 MRA 329
3 심근허혈과 경색의 진단 331
4 혈관벽 영상(플라크 영상) 338
5 이동테이블 MRI 340
6 다단계테이블(stepping-table) MRA 342
7 경부 조영 MRA 350
8 MR 정맥촬영-2D TOF 호흡보정 병용 354
9 Fresh Blood Imaging(FBI)과 Flow-Spoiled FBI 356
10 약물저장소(reservoir) 조영 MRI 360
색인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