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IMF 사태의 충격 - 1997년
한보사태와 ''문민 황태자'' 김현철 사건 | "김현철, 비디오테이프 그리고 거짓말" | 황장엽 망명 사건 | 이회창 대선후보 선출 | 제15대 대통령선거 ① | ''6·25 이후 최대 국난'': IMF 구제금융 신청 | 제15대 대통령선거 ② | 신드롬: ''박정희''에서 ''박찬호''까지 | 자동차: "집 없어도 차부터 사겠다" |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대중화 | 키치·캠프·동성애
[자세히 읽기]
유시민의 ''김대중 당선 불가론'' | 이석현 명함 파동 | ''대통령 후보 사상검증 대토론회'' | 조선일보 김대중의 영작문 사건 | 전두환·노태우 사면 | 중산층의 도시탈출과 ''전원''의 범람 | 장정일의 [내게 거짓말을 해봐] | 영화 유통경쟁과 영화제 홍수
제9장: 국가적 생존투쟁 - 1998년
김대중의 대통령 취임 | 금 모으기 운동 | 6·4 지방선거와 ''박근혜 신드롬'' | 정주영의 소몰이 이벤트 | 최장집 사건 | 삼성 논쟁과 소액주주운동 | ''서바이벌게임''에 들어선 언론 | 대중문화: 다양성 강박과 스타에 대한 욕망
[자세히 읽기]
''호남 호황설''·''호남 역차별론'' | 영화진흥법·스크린쿼터·''여고괴담'' | 티켓다방의 확산
제10장: 다시 ''소비의 시대''로 - 1999년
지역주의에 발목 잡힌 김대중 정권 | 공직자 재테크와 옷 로비 사건 | 서해교전: ''햇볕정책'' 논쟁 | DJP: 내각제 논쟁 | 조선일보 논쟁 | ''제1권부''로 등극한 언론 | ''쉬리'' 열풍: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 |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폭발 | ''소비의 천국''이 된 대한민국? | ''노래방''에서 ''PC방''까지
[자세히 읽기]
IMF가 만든 한류? | 밀레니엄 신드롬 | 스타벅스의 등장
맺는말: ''통합''에서 ''분열''로
한보사태와 ''문민 황태자'' 김현철 사건 | "김현철, 비디오테이프 그리고 거짓말" | 황장엽 망명 사건 | 이회창 대선후보 선출 | 제15대 대통령선거 ① | ''6·25 이후 최대 국난'': IMF 구제금융 신청 | 제15대 대통령선거 ② | 신드롬: ''박정희''에서 ''박찬호''까지 | 자동차: "집 없어도 차부터 사겠다" |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대중화 | 키치·캠프·동성애
[자세히 읽기]
유시민의 ''김대중 당선 불가론'' | 이석현 명함 파동 | ''대통령 후보 사상검증 대토론회'' | 조선일보 김대중의 영작문 사건 | 전두환·노태우 사면 | 중산층의 도시탈출과 ''전원''의 범람 | 장정일의 [내게 거짓말을 해봐] | 영화 유통경쟁과 영화제 홍수
제9장: 국가적 생존투쟁 - 1998년
김대중의 대통령 취임 | 금 모으기 운동 | 6·4 지방선거와 ''박근혜 신드롬'' | 정주영의 소몰이 이벤트 | 최장집 사건 | 삼성 논쟁과 소액주주운동 | ''서바이벌게임''에 들어선 언론 | 대중문화: 다양성 강박과 스타에 대한 욕망
[자세히 읽기]
''호남 호황설''·''호남 역차별론'' | 영화진흥법·스크린쿼터·''여고괴담'' | 티켓다방의 확산
제10장: 다시 ''소비의 시대''로 - 1999년
지역주의에 발목 잡힌 김대중 정권 | 공직자 재테크와 옷 로비 사건 | 서해교전: ''햇볕정책'' 논쟁 | DJP: 내각제 논쟁 | 조선일보 논쟁 | ''제1권부''로 등극한 언론 | ''쉬리'' 열풍: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 |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폭발 | ''소비의 천국''이 된 대한민국? | ''노래방''에서 ''PC방''까지
[자세히 읽기]
IMF가 만든 한류? | 밀레니엄 신드롬 | 스타벅스의 등장
맺는말: ''통합''에서 ''분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