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 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에 | 삼중 어려움의 좌절과 극복·하영선
변화하는 세계와 개념사 - 하영선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사 - 하영선
1.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
2. 전통과 근대의 복합화
3. 문명 개념의 동아시아 전파
4. 유럽 문명 개념의 등장
5. 조선 문명화의 좌절
서구 권력의 도입 - 최정운
1. 서론
2. 부국강병론과 도입의 컨텍스트
3. 한말의 서구식 권력의 도입시도
4. 식민지시대의 권력사상
5. 맺음말
근대한국의 주권 개념 - 신욱희
1. 서론
2. 개념의 도입과 사용
(1)『만국공법』과 개화파들의 용례
(2)강화도조약에서 대한제국까지
(3)국권 개념과의 비교
3. 관념의 수용과 변용
(1)김윤식: 저항의 한계
(2)유길준: 구성의 좌절
(3)윤치호: 순응의 결과
4. 결론과 현대적 의미
근대한국의 부국강병 개념 - 김영호
1. 서론
2. 부국강병에 대한 조선의 전통적인 인식
3. 구한말 조선ㄴ의 부국강병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전환
4. 결론
근대한국의 세력균형 개념 - 장인성
1. 머리말: 세력균형과 개념
2. 세력균형 개념의 수용: ''균세''
(1)''균세''개념의 수용
(2)균세와 세력균형
3. ''균세''의 장소성
(1)''전국''과 ''합종연횡''
(2)규범과 권력의 사이
4. 세력균형 개념의 변용: ''정립''
(1)''중립'': 외재적 세력균형
(2)''정립'': 내재적 세력균형
5. 맺음말: 세력균형의 형해화 그리고 부활
근대한국의 평화 개념 도입사 - 하영선
1. 머리말
2. 해방론의 평화
3. 만국공법의 평화
4. 양정체제론의 평화
5. 자강균세론의 평화
6. 동양평화론과 한국
7. 맺음말
근대한국의 국민/인종/민족 개념 - 강동국
1. 머리말
2. 국민 개념의 연속성과 애매성: 조선후기!1904
3. 인종 개념의 전파와 정착: 1895~1904
4. 민족의 등장: 1905~1909
5. 국민의 강화: 1905~1909
6. 민족의 승리: 1910~1919
7. 맺음말
근대한국의 민주주의 개념 :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 김용직
1. 서론
2. 전기 개화기 한국의 민주주의 전파
(1)전기 개화기 한국의 민주주의 전파
(2) 민주주의 개념의 초기 전파
1)『한성순보』
2)갑신정변과 김옥균
(3)유길준의 『서유견문』
3. 후기 개화기의 한국의 민주주의 수용, 1890년대
(1)서재필의 『독립신문』
1)서재필의 민권론
2)경장개혁론
3)의회개설운동
4. 결론
근대한국의 경제 개념 - 손열
1. 언어, 개념, 번역
2. 서양의 경제
3. 일본의 경제
4. 한국/조선의 경제
5. 전파의 정치
근대한국의 ''개인'' 개념 수용 - 김석근
1. 한국개념사
2. 근대와 ''Individual''(개인)의 탄생
3. Individual 번역어로서의 ''개인''
4. 개화기 ''개인''개념의 수용
5. 개념과 현실 사이
대한제국의 ''영웅'' 개념 - 이헌미
1. 들어가며
2. 영웅 개념의 수용경로
3. 식민 전야의 정치언어
4. 영웅과 시세: 사회진화론과의 관계
(1)일본
(2)청
(3)대한제국
5. 유명영웅과 무명영웅: 내셔널리즘의 스펙트럼
(1)일본
(2)청
(3)대한제국
6. 맺음말
찾아보기
책머리에 | 삼중 어려움의 좌절과 극복·하영선
변화하는 세계와 개념사 - 하영선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사 - 하영선
1.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
2. 전통과 근대의 복합화
3. 문명 개념의 동아시아 전파
4. 유럽 문명 개념의 등장
5. 조선 문명화의 좌절
서구 권력의 도입 - 최정운
1. 서론
2. 부국강병론과 도입의 컨텍스트
3. 한말의 서구식 권력의 도입시도
4. 식민지시대의 권력사상
5. 맺음말
근대한국의 주권 개념 - 신욱희
1. 서론
2. 개념의 도입과 사용
(1)『만국공법』과 개화파들의 용례
(2)강화도조약에서 대한제국까지
(3)국권 개념과의 비교
3. 관념의 수용과 변용
(1)김윤식: 저항의 한계
(2)유길준: 구성의 좌절
(3)윤치호: 순응의 결과
4. 결론과 현대적 의미
근대한국의 부국강병 개념 - 김영호
1. 서론
2. 부국강병에 대한 조선의 전통적인 인식
3. 구한말 조선ㄴ의 부국강병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전환
4. 결론
근대한국의 세력균형 개념 - 장인성
1. 머리말: 세력균형과 개념
2. 세력균형 개념의 수용: ''균세''
(1)''균세''개념의 수용
(2)균세와 세력균형
3. ''균세''의 장소성
(1)''전국''과 ''합종연횡''
(2)규범과 권력의 사이
4. 세력균형 개념의 변용: ''정립''
(1)''중립'': 외재적 세력균형
(2)''정립'': 내재적 세력균형
5. 맺음말: 세력균형의 형해화 그리고 부활
근대한국의 평화 개념 도입사 - 하영선
1. 머리말
2. 해방론의 평화
3. 만국공법의 평화
4. 양정체제론의 평화
5. 자강균세론의 평화
6. 동양평화론과 한국
7. 맺음말
근대한국의 국민/인종/민족 개념 - 강동국
1. 머리말
2. 국민 개념의 연속성과 애매성: 조선후기!1904
3. 인종 개념의 전파와 정착: 1895~1904
4. 민족의 등장: 1905~1909
5. 국민의 강화: 1905~1909
6. 민족의 승리: 1910~1919
7. 맺음말
근대한국의 민주주의 개념 :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 김용직
1. 서론
2. 전기 개화기 한국의 민주주의 전파
(1)전기 개화기 한국의 민주주의 전파
(2) 민주주의 개념의 초기 전파
1)『한성순보』
2)갑신정변과 김옥균
(3)유길준의 『서유견문』
3. 후기 개화기의 한국의 민주주의 수용, 1890년대
(1)서재필의 『독립신문』
1)서재필의 민권론
2)경장개혁론
3)의회개설운동
4. 결론
근대한국의 경제 개념 - 손열
1. 언어, 개념, 번역
2. 서양의 경제
3. 일본의 경제
4. 한국/조선의 경제
5. 전파의 정치
근대한국의 ''개인'' 개념 수용 - 김석근
1. 한국개념사
2. 근대와 ''Individual''(개인)의 탄생
3. Individual 번역어로서의 ''개인''
4. 개화기 ''개인''개념의 수용
5. 개념과 현실 사이
대한제국의 ''영웅'' 개념 - 이헌미
1. 들어가며
2. 영웅 개념의 수용경로
3. 식민 전야의 정치언어
4. 영웅과 시세: 사회진화론과의 관계
(1)일본
(2)청
(3)대한제국
5. 유명영웅과 무명영웅: 내셔널리즘의 스펙트럼
(1)일본
(2)청
(3)대한제국
6.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