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박노해
1957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나 고흥에서 자라났다. 16세 때 상경하여 낮에는 노동자로 학비를 벌고 밤에는 선린상고(야간부)를 다녔다. 현장 노동자로 일하던 1984년,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을 출간했다. 군사정부의 금서 조치에도 100만 부 가까이 발간된 이 한 권의 시집은, 한국 사회와 문단을 충격적 감동으로 뒤흔들게 된다. 그때부터 ‘얼굴 없는 시인’으로 불리며 한국민주화운동 시대의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1989년 분단된 한국 사회에서 절대 금기였던 ‘사회주의’를 천명한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을 결성했다. 1991년 7년 여 수배 생활 끝에 체포되어 24일간의 참혹한 불법 고문 후 사형이 구형되고, 무기징역형에 처해졌다. 1993년 옥중에서 두 번째 시집 《참된 시작》을, 1997년 옥중 에세이집 《사람만이 희망이다》를 출간했다. 이 책은 수십만 부가 읽히면서, 그의 몸은 가둘 수 있지만 그의 사상과 시는 가둘 수 없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1998년 8월 15일, 7년 6개월의 감옥생활 끝에 김대중 대통령의 특별사면조치로 석방되었다. 이후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복권되었으나 국가 보상금을 거부하였다. 2000년부터 스스로 사회적 발언을 금한 채 지구 시대의 인간해방을 향한 새로운 사상과 실천에 착수하는 한편, ‘생명ㆍ평화ㆍ나눔’을 기치로 한 사회운동단체 ‘나눔문화’(nanum.com)를 설립했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선언 직후 전쟁터로 날아가 평화활동을 전개했다. 지금까지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등의 눈물 흐르는 지구의 골목길에서 글로벌 평화나눔을 펼치고 있다. 평화활동의 도구로서 들기 시작한 낡은 흑백 필름 카메라는 그에게 인류 보편의 언어인 ‘빛으로 쓴 시’가 되고 있다. 2010년 1월 첫 사진전 [라 광야]展을, 2010년 10월 [나 거기에 그들처럼]展을 열었다. 2010년 10월, 10여 년의 침묵정진 속에서 육필로 새겨온 5천여 편의 시 중에서 300편을 묶은 신작 시집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를 출간했다. 그는 오늘도 국경을 넘어 인류의 고통과 슬픔을 끌어안고 사람들의 가슴 속에 잠든 선함과 용기를 일깨우면서, 21세기 인류의 대안 삶과 근원적 혁명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1957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나 고흥에서 자라났다. 16세 때 상경하여 낮에는 노동자로 학비를 벌고 밤에는 선린상고(야간부)를 다녔다. 현장 노동자로 일하던 1984년,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을 출간했다. 군사정부의 금서 조치에도 100만 부 가까이 발간된 이 한 권의 시집은, 한국 사회와 문단을 충격적 감동으로 뒤흔들게 된다. 그때부터 ‘얼굴 없는 시인’으로 불리며 한국민주화운동 시대의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1989년 분단된 한국 사회에서 절대 금기였던 ‘사회주의’를 천명한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을 결성했다. 1991년 7년 여 수배 생활 끝에 체포되어 24일간의 참혹한 불법 고문 후 사형이 구형되고, 무기징역형에 처해졌다. 1993년 옥중에서 두 번째 시집 《참된 시작》을, 1997년 옥중 에세이집 《사람만이 희망이다》를 출간했다. 이 책은 수십만 부가 읽히면서, 그의 몸은 가둘 수 있지만 그의 사상과 시는 가둘 수 없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1998년 8월 15일, 7년 6개월의 감옥생활 끝에 김대중 대통령의 특별사면조치로 석방되었다. 이후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복권되었으나 국가 보상금을 거부하였다. 2000년부터 스스로 사회적 발언을 금한 채 지구 시대의 인간해방을 향한 새로운 사상과 실천에 착수하는 한편, ‘생명ㆍ평화ㆍ나눔’을 기치로 한 사회운동단체 ‘나눔문화’(nanum.com)를 설립했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선언 직후 전쟁터로 날아가 평화활동을 전개했다. 지금까지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등의 눈물 흐르는 지구의 골목길에서 글로벌 평화나눔을 펼치고 있다. 평화활동의 도구로서 들기 시작한 낡은 흑백 필름 카메라는 그에게 인류 보편의 언어인 ‘빛으로 쓴 시’가 되고 있다. 2010년 1월 첫 사진전 [라 광야]展을, 2010년 10월 [나 거기에 그들처럼]展을 열었다. 2010년 10월, 10여 년의 침묵정진 속에서 육필로 새겨온 5천여 편의 시 중에서 300편을 묶은 신작 시집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를 출간했다. 그는 오늘도 국경을 넘어 인류의 고통과 슬픔을 끌어안고 사람들의 가슴 속에 잠든 선함과 용기를 일깨우면서, 21세기 인류의 대안 삶과 근원적 혁명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