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申炳周)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건국대·서울여대 등에서 조선시대 사상과 문화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역사의 대중화에 깊은 관심을 가져 KBS의 〈TV 조선왕조실록〉, 〈역사 스페셜〉의 자문을 맡았다. 최근에는 규장각에 소장된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좀 더 친근하게 소개해 주는 연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공저) 등이 있다.
노대환(盧大煥)
충남 서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전통문화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조선 후기 사상사, 특히 동도서기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개항기 지식인들의 개혁론의 성격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역 문화에도 관심이 많아 영주시 문화재 자문위원과 영주문화연구회 논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공저), 『영양 주실마을』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19세기 동도서기론의 형성 과정 연구」를 비롯하여 「민영익의 사상과 활동」, 「개항기 지식인 김병욱의 시세 인식과 부강론」 등이 있다.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건국대·서울여대 등에서 조선시대 사상과 문화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역사의 대중화에 깊은 관심을 가져 KBS의 〈TV 조선왕조실록〉, 〈역사 스페셜〉의 자문을 맡았다. 최근에는 규장각에 소장된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좀 더 친근하게 소개해 주는 연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공저) 등이 있다.
노대환(盧大煥)
충남 서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전통문화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조선 후기 사상사, 특히 동도서기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개항기 지식인들의 개혁론의 성격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역 문화에도 관심이 많아 영주시 문화재 자문위원과 영주문화연구회 논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공저), 『영양 주실마을』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19세기 동도서기론의 형성 과정 연구」를 비롯하여 「민영익의 사상과 활동」, 「개항기 지식인 김병욱의 시세 인식과 부강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