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경,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았던 색다른 부분까지 찾아내 한국의 역사를 말하다!
『역사의 공간』은 한국의 역사를 횡단하며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을 사유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계기로 쓰인 것으로 각각의 주제나 성격, 심지어 글의 스타일에 이르기 아주 다르다. 그럼에도 한국의 과거나 현재에 대한 주제를 담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읽는 방식에 따라 우리의 역사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철학과 굴뚝청소부], [노마디즘] 등을 통해 깊이 있는 사유를 펼쳐왔던 이진경은 20여 권의 저서를 집필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쳐왔다. 이 책은 그런 그가 처음으로 한국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책으로, 맑스주의와 역사, 진보의 개념과 미래, 조선 후기에서 사회적 시간의 시간성, 동아신질서론과 조선의 지식인 등 한국의 역사 속에서 우리가 알지 못했던 다양한 문제들을 전문적으로 살펴보고 있어 우리의 역사를 새롭게 보는데 도움을 전한다.
『역사의 공간』은 한국의 역사를 횡단하며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을 사유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계기로 쓰인 것으로 각각의 주제나 성격, 심지어 글의 스타일에 이르기 아주 다르다. 그럼에도 한국의 과거나 현재에 대한 주제를 담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읽는 방식에 따라 우리의 역사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철학과 굴뚝청소부], [노마디즘] 등을 통해 깊이 있는 사유를 펼쳐왔던 이진경은 20여 권의 저서를 집필하며 왕성한 활동을 펼쳐왔다. 이 책은 그런 그가 처음으로 한국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책으로, 맑스주의와 역사, 진보의 개념과 미래, 조선 후기에서 사회적 시간의 시간성, 동아신질서론과 조선의 지식인 등 한국의 역사 속에서 우리가 알지 못했던 다양한 문제들을 전문적으로 살펴보고 있어 우리의 역사를 새롭게 보는데 도움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