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적인 서정으로 영화를 이야기하다!
2007년 칸 영화제 60주년을 기념하여, 칸 영화제 조직위원장이자 세계영화계의 ‘황제’ 질 자콥이 프랑스의 대표 작가 르 클레지오에게 의뢰하여 탄생한 영화 에세이. 책의 제목인 ‘발라시네(Ballaciner)’는 ballader(산책하다, 노래하다)와 cinema(영화)를 합친 신조어로서, 저자는 ‘산책’과 ‘발라드(사랑의 노래 또는 시)’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화에 대한 전문 비평가가 아닌 ‘아마추어’로서 영화를 좀더 주관적으로 거리를 두고 관조하고 있는 저자에게 이 책은 자신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던 영화라는 매체에 바치는 사랑의 노래(또는 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자유로운 에세이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저자의 어린 시절 무성영화에 대한 기억에서 출발하여 2차 대전 이후 일본 영화의 전성기에 대한 회상,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을 필두로 한 유럽 영화의 격동기를 지나온 체험, 현재 이란 영화의 신선함 및 한국 영화의 약동에 대한 증언에 이르기까지, 영화사의 주요한 장면들을 저자 특유의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문체로 재구성해내고 있다.
영화에 대한 주제별 이야기 중간중간에 개인적인 영화 체험과 관련된 에피소드들을 ‘막간(#)’처럼 집어넣어 독자들에게 잠시 쉬어갈 여유를 선사하기도 한다. 어린 시절 처음으로 영화를 알게 해준 파테사의 편집기사 가비(Gaby)에 대한 추억, 오즈 야스지로가 살던 방에서 추위에 덜덜 떨며 하루 묵었던 이야기, 중고등학교 시절 니스의 갖가지 영화관들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마지막에는 박찬욱, 이창동, 이정향의 인터뷰를 실었다. 또한, 저자는 한국 영화를 비롯한 이란 영화, 인도 영화 등 제3세계 영화에 대한 애정을 한껏 표현하며, 탈경계적이고 편향되지 않은 시야와 관점을 보여준다. [양장본]
▶ 작품 자세히 들여다보기!
한국에 대한 르 클레지오의 특별한 관심과 사랑은 알려져 있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미래의 영화를 책임질 수 있을 주역으로 한국 영화를 거론한다. 저자는 한국 영화 특유의 역동성과 다양성에 주목하면서 그러한 특색의 단초를 서로 다른 색깔의 감독들인 박찬욱, 이창동, 이정향 감독과의 인터뷰에서 찾아보고 있다. 편집상 많이 축약된 프랑스판과는 달리 이번 한국어판에서는 인터뷰 분량을 원본에 가깝게 수록했다.
2007년 칸 영화제 60주년을 기념하여, 칸 영화제 조직위원장이자 세계영화계의 ‘황제’ 질 자콥이 프랑스의 대표 작가 르 클레지오에게 의뢰하여 탄생한 영화 에세이. 책의 제목인 ‘발라시네(Ballaciner)’는 ballader(산책하다, 노래하다)와 cinema(영화)를 합친 신조어로서, 저자는 ‘산책’과 ‘발라드(사랑의 노래 또는 시)’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화에 대한 전문 비평가가 아닌 ‘아마추어’로서 영화를 좀더 주관적으로 거리를 두고 관조하고 있는 저자에게 이 책은 자신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던 영화라는 매체에 바치는 사랑의 노래(또는 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자유로운 에세이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저자의 어린 시절 무성영화에 대한 기억에서 출발하여 2차 대전 이후 일본 영화의 전성기에 대한 회상,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을 필두로 한 유럽 영화의 격동기를 지나온 체험, 현재 이란 영화의 신선함 및 한국 영화의 약동에 대한 증언에 이르기까지, 영화사의 주요한 장면들을 저자 특유의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문체로 재구성해내고 있다.
영화에 대한 주제별 이야기 중간중간에 개인적인 영화 체험과 관련된 에피소드들을 ‘막간(#)’처럼 집어넣어 독자들에게 잠시 쉬어갈 여유를 선사하기도 한다. 어린 시절 처음으로 영화를 알게 해준 파테사의 편집기사 가비(Gaby)에 대한 추억, 오즈 야스지로가 살던 방에서 추위에 덜덜 떨며 하루 묵었던 이야기, 중고등학교 시절 니스의 갖가지 영화관들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마지막에는 박찬욱, 이창동, 이정향의 인터뷰를 실었다. 또한, 저자는 한국 영화를 비롯한 이란 영화, 인도 영화 등 제3세계 영화에 대한 애정을 한껏 표현하며, 탈경계적이고 편향되지 않은 시야와 관점을 보여준다. [양장본]
▶ 작품 자세히 들여다보기!
한국에 대한 르 클레지오의 특별한 관심과 사랑은 알려져 있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미래의 영화를 책임질 수 있을 주역으로 한국 영화를 거론한다. 저자는 한국 영화 특유의 역동성과 다양성에 주목하면서 그러한 특색의 단초를 서로 다른 색깔의 감독들인 박찬욱, 이창동, 이정향 감독과의 인터뷰에서 찾아보고 있다. 편집상 많이 축약된 프랑스판과는 달리 이번 한국어판에서는 인터뷰 분량을 원본에 가깝게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