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결과 상세 정보

  • HOME
  • 검색결과 상세 정보

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최원식

책이미지
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서평쓰기
서평쓰기
책이미지

QRcode

QR Code
QRcode 사용방법
QRcode 사용방법
QR코드 정의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형식의 코드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각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QR코드 인식프로그램
스마트폰 마켓에 들어가면 'QR코드 스캔 프로그램'을 검색해 무료 어플을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서정보 QR코드 이용하기
도서 상세정보에서 QR코드를 스캔하면, 모바일 웹페이지로 연결되어 해당 도서의 상세정보 및 소장정보 등을 확인 할 수있습니다.
닫기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최원식 ...[등]엮음
개인저자최원식
백영서, 1953-, 엮음
신윤환, 1955-, 엮음
강태웅, 1972-, 엮음
발행사항파주: 창비: Changbi, 2008
형태사항349p.: 삽도; 24cm
총서사항서남동양학술총서
ISBN9788936413095
일반주기 서남재단 20주년 기념 동아시아 순회토론
공엮은이: 백영서, 신윤환, 강태웅
필자 및 주요 토론자: 최원식(崔元植), 강태웅(姜泰雄), 야까비 오사무(屋嘉比收), 토베 히데아끼(戶邊秀明), 아사또 에이꼬(安里英子), 신죠 이쿠오(新城郁夫), 타까자또 스즈요(高里鈴代), 와까바야시 찌요(若林千代), 신윤환(辛尹煥), 송승철(宋承哲), 응웬 반 릭(Nguyen Van Lich), 호앙 칵 남(Hoang Khac Nam), 최병욱(崔秉旭), 호앙 반 비엣(Hoang Van Viet), 응웬 띠엔 륵(Nguyen Tien Luc), 응오 민 오안(Ngo Minh Oanh), 다오 민 홍(Dao Minh Hong), 백영서(白永瑞), 양태근(梁台根), 천팡밍(陳芳明), 우루이런(吳叡人), 뤼샤오리(呂紹理), 김도희(金都姬), 린뤠이밍(林瑞明), 우페이첸(吳佩珍), 호이린(何義麟)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기금정보주기이 책은 서남재단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발간됨
분류기호950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인쇄인쇄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CD-NET
1 EM96311 950 최67ㅈ 2층 제1자료열람실/2층 일반도서서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2 EM96312 950 최67ㅈ c.2 2층 제1자료열람실/2층 일반도서서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초록

목차 일부

남쪽에서 바라본 동북아시아!

『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 서남포럼이 창립 20주년을 맞이해 오끼나와ㆍ호찌민시ㆍ타이빼이 3개 도시에서 현지 지식인들과 함께 논의한 순회토론회의 결과물을 담은 책이다. 동아시아 평화와 공치를 향한 역사적 경험을 돌아보고 현재의 정치ㆍ사회ㆍ문화적 조건에서 대안적 지역질서를 형성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해 본다.
...

목차 전체

남쪽에서 바라본 동북아시아!

『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 서남포럼이 창립 20주년을 맞이해 오끼나와ㆍ호찌민시ㆍ타이빼이 3개 도시에서 현지 지식인들과 함께 논의한 순회토론회의 결과물을 담은 책이다. 동아시아 평화와 공치를 향한 역사적 경험을 돌아보고 현재의 정치ㆍ사회ㆍ문화적 조건에서 대안적 지역질서를 형성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해 본다.

이 책은 지난 2007년 2월~9월 서남포럼이 방문한 세 도시 오끼나와ㆍ호찌민시ㆍ타이빼이를 총 3부로 나눠 소개한다. 각 부별로 순회토론회의 발표문과 이후 추가된 논문, 현지 지식인들의 종합토론으로 꾸려져 있다. 이번 현장토론은 동북아로 한정돼 있던 기존 ‘동아시아론’의 한계를 성찰하고 학문적 인식과 생활세계의 상상력을 확장할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양장본]

목차

목차 일부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 21세기가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 - 세 도시 이야기: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제1부 오끼나와
1 동아시아 속의 오끼나와 / 강태웅
2 오끼나와에 온 까닭 / 최원식
1. 유리구슬에 비친 한국/2. 일본 동아시아론의 향방/3. 수출론과 보상론의 미몽을 넘어
3 ''조국복귀''운동에서 ''자치'' 주장으로: 문제로서의...

목차 전체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 21세기가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 - 세 도시 이야기: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제1부 오끼나와
1 동아시아 속의 오끼나와 / 강태웅
2 오끼나와에 온 까닭 / 최원식
1. 유리구슬에 비친 한국/2. 일본 동아시아론의 향방/3. 수출론과 보상론의 미몽을 넘어
3 ''조국복귀''운동에서 ''자치'' 주장으로: 문제로서의 오끼나와 / 강태웅
1. 들어가며/2. ''조국'' 일본으로의 복귀운동/3. 본토와의 대립/4. 오끼나와의 지향점: ''자치'' 주장을 중심으로/5. 나가며
4 근대 오끼나와에 있어서 마이너리티 인식의 변천 / 야까비 오사무
1. 머리말/2. 메이지시대의 오오따 죠오후/3. 다이쇼시대의 이하 후유/4. 쇼와시대의 쿠시 후사꼬/5. 맺음말
5 ''재일 오끼나와인'', 그 호칭이 조명하는 것 / 토베 히데아끼
1. 시작하며/2. 근데 오끼나와인에게 있어서 조선과 조선인/3. 학대받는 자의 유사성: 재일 조선인단체로의 접근의 의미/
4. ''재일 오끼나와인''의 보급/5. ''오까나와인''이다라는 공포/6. 맺으며
5 종합토론

제2부 호찌민시
1 제국의 주변이길 거부하는 베트남 / 신윤환
2 베트남의 동아시아 인식 / 신윤환
1. 베트남의 정체성에 대한 궁금증/2. 베트남과 중국/3. 베트남과 미국/4. 베트남의 동아시아 인식/
5. 한국과 베트남, 그 특별한 관계/6. 보론: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이점
3 베트남전쟁 소설론: 용병의 교훈 / 송승철
1. ''당신들의 전쟁''/2. 모순된 체험/3. 모순된 체험의 자기설복: 자기합리화인가 객관화인가?/4. 『머나먼 쏭바강』: 젊음의 통과제의/
5. 『하얀전쟁』: 실존주의적 합리화/6. 『무기의 그늘』: 방관자의 절망/7. 결론: 용병의 한계
4 21세기 초 아시아 - 태평양지역의 안보: 동남아 평화·자유·중립지대로부터 아세안 지역안보포럼까지 / 응웬 반 릭
1. 냉전과 동남아: 냉전 속의 지역안보에 대한 몇가지 재인식/2. 아세안과 ZOPFAN의 관점: 냉전 속의 지역안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  
3.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창설/4. 아세안과 21세기 초 아시아 - 태평양지역의 안보
5 동아시아공동체의전개 / 호앙 칵 남
1. 여는글/2. 지리적 전제/3. 역사적 전제/4. 사회문화적 전제/5. 정치안보적 전체/6. 경제적 전체/7. 결론
6. 종합토론

제3부 타이뻬이
1 다중적 식민경험과 타이완 민족주의 / 양태근
2 평화에 대한 상상력의 조건과 한계: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성찰 / 백영서
1.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평화와 소통이란?/2. 중국의 화평굴기와 동아시아 공동체/3. ''보통의 국가'' 일본과 동아시아 공동체론/
4. ''동북아시대'' 한국의 평화로의 길/5. 주변적 지성의 결집: 한국과 타이완의 소통
3 타이완 민족주의를 통해 본 중국 / 양태근
1. 서론/2. 민족주의: 발명/발견/재생/3. 타이완 민족주의/4. 중국 제국주의와 미일 제국주의 사이에서/
5. 극복/용인
4 동아시아의 미래와 타이완의 현재: 한 문학연구자의 시각 / 쳔팡밍
1. 동아시아의 타이완: 출석과 결석/2. 제국의 그늘하의 타이완 문학/3. 탈제국: 신화 혹은 현실
5 천민선언, 혹은 타이완 비극의 도덕적 의의 / 우루이런
6 정보와 담론: 타이완에서의 ''아시아''에 대한 사고와 인식의 가능성 / 뤼샤오리
1. 정보/담론, 생활세계/역사순간/2. ''간극''의 생산/3. 중층중심의 중층주변/4. 중층주변의 다중중심/
5. ''문화''를 통해 아시아를 생각하다: 결론을 대신하여
7 종합토론

필자 및 주요 토론자 소개

청구기호 Browsing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 제목에는 특수기호 사용을 제한합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4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3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2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1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태그

태그추가


1532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안산대학로 155 (일동) Tel. 031)400-7071~4 Fax. 031)400-7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