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결과 상세 정보

  • HOME
  • 검색결과 상세 정보

연결자: 촘촘하고 똑똑해진 세상을 지배하는 관계의 비밀

야스다 유키

책이미지
연결자: 촘촘하고 똑똑해진 세상을 지배하는 관계의 비밀
서평쓰기
서평쓰기
책이미지

QRcode

QR Code
QRcode 사용방법
QRcode 사용방법
QR코드 정의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형식의 코드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각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QR코드 인식프로그램
스마트폰 마켓에 들어가면 'QR코드 스캔 프로그램'을 검색해 무료 어플을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서정보 QR코드 이용하기
도서 상세정보에서 QR코드를 스캔하면, 모바일 웹페이지로 연결되어 해당 도서의 상세정보 및 소장정보 등을 확인 할 수있습니다.
닫기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연결자: 촘촘하고 똑똑해진 세상을 지배하는 관계의 비밀/ 야스다 유키 지음; 김윤경 옮김
개인저자야스다 유키, 1963-
김윤경, 옮김
발행사항서울: 타임교육: 북하이브, 2011
형태사항259p.: 삽도, 도표; 22cm
ISBN9788928605545
일반주기 야스다 유키의 한문명은 '安田雪' 임
Connectors
서지주기참고문헌: p. 255-259
참고자료 수록
원서명安田雪「つながり」を突き止めろ : 入門!ネットワ-ク·サイエンス
분류기호302.231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인쇄인쇄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CD-NET
1 EM90329 302.231 야58ㅇ 2층 제1자료열람실/2층 일반도서서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2 EM90330 302.231 야58ㅇ c.2 2층 제1자료열람실/2층 일반도서서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초록

목차 일부

스마트 기기들과 소셜 네트워크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연결되는 초연결사회!

『연결자』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chacha하게 연결되어 있는 현대의 초연결사회를 들여다보고, 그 안에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파악하여 다른 사람과 조직, 그리고 사회를 연결하고 있는 인간관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네트워크 과학에 기초한 수많은 실험과 사례를 통...

목차 전체

스마트 기기들과 소셜 네트워크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연결되는 초연결사회!

『연결자』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chacha하게 연결되어 있는 현대의 초연결사회를 들여다보고, 그 안에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파악하여 다른 사람과 조직, 그리고 사회를 연결하고 있는 인간관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네트워크 과학에 기초한 수많은 실험과 사례를 통해 성(性) 접촉의 연쇄, 업무용 이메일에서 추출한 사내 관계, SNS상의 인맥 연쇄 등 작은 부분에서부터 테러 조직 색출이나 신종플루 같은 전염병의 확산 경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간관계로 연결된 네트워크의 세계를 흥미진진하게 파헤치고 있다. 업무용 이메일로 정보 흐름과 업무수행 능력을 읽고, SNS에서 역시 양극화된 불평등한 구조를 띠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며, 애인 연쇄 네트워크와 전염병 확산의 원인 등을 살펴본다.

목차

목차 일부

프롤로그_촘촘히 우리를 둘러싼 네트워크 세계의 탐색 

제1장 내 친구의 친구는 알카에다_네트워크 과학과 연결의 비밀
게릴라 색출 전략과 미군 매뉴얼 / 관계를 탐색하라, 집요하게 / 네 이웃을 조심하라 / 당신의 친구가 당신이 누구인지를 말해준다 / 2단계 연쇄로 밝혀낸 9.11 테러범 19명 / 애인의 휴대전화, 엿볼까 말까 / 남자들 술자리는 업...

목차 전체

프롤로그_촘촘히 우리를 둘러싼 네트워크 세계의 탐색 

제1장 내 친구의 친구는 알카에다_네트워크 과학과 연결의 비밀
게릴라 색출 전략과 미군 매뉴얼 / 관계를 탐색하라, 집요하게 / 네 이웃을 조심하라 / 당신의 친구가 당신이 누구인지를 말해준다 / 2단계 연쇄로 밝혀낸 9.11 테러범 19명 / 애인의 휴대전화, 엿볼까 말까 / 남자들 술자리는 업무 연장선, 여자들 점심 모임은 시간 낭비? / 우리를 키운 건 8할이 네트워크 / 소셜 네트워크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 
Tip 정보화 시대를 이끄는 조직 패러다임_거미 조직에서 불가사리 조직으로 

제2장 이메일 송수신 기록, 보물인가 쓰레기인가_이메일로 밝혀내는 업무 수행 네트워크
이메일 데이터가 당신의 사내 인맥을 말해준다 / 1,000만 엔짜리 자리 배치 / 엔론 사, CEO를 정보 연쇄에서 고립시키다 / 이메일 속 단어까지 분석한다 / 이메일로 밝혀지는 당신의 업무 실적 / 신뢰와 협력의 네트워크는 어디에서 오는가 / 조직에서 살아남으려면 연쇄의 중개자가 되어라 / 우리 회사의 사내관계를 지도로 그려보자 / 사회자본을 키워라 / 관계는 조직도가 아니라 현장에 있다 / 이메일 모니터링은 위법인가 / 네트워크 분석의 윤리적 과제 /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라 / 눈에 보이지 않는 관계의 그물망 
Tip 텍스트마이닝_당신이 말해주지 않아도 당신의 생각을 읽는 소셜 미디어 분석 도구 

제3장 오프라인 왕따가 페이스북 인기남이 될 수 있을까_SNS를 지배하는 관계의 법칙
관계의 전체상을 추구하라 / 누가 친구이고 누가 지인인가 / 믹시mixi, 빨래터 수다의 장을 열다 / SNS의 신용보증은 친구 공개로부터 / 웹페이지도 빈익빈 부익부 / 약육강식 논리가 지배하는 네트워크 / SNS에도 6단계 법칙이 통한다 / 친구의 친구가 친구일 확률은? / 관심을 먹고 자라는 커뮤니티 / SNS를 성장시킨 두 가지 자유 / 통계물리학이 사회학을 이겼다고? 
Tip SNS 빅뱅_모든 길은 페이스북으로 통한다 
Tip SNS, 페이스북과 트위터만 있는 건 아니다_믹시(mixi), 그리(GREE), 오르컷(Orkut) 

제4장 애인의 옛 애인의 옛 애인을 아십니까_성적 접촉의 연쇄구조
애인 연쇄 추적하기 / 에이즈 공포시대의 초상 / 성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선호적 연결 원리 / 교제상대는 가까운 곳에 있는 미인부터 / 애인 연쇄를 계산하는 방법 / 교제상대의 선택 범위 / 다섯 명과 사귀면 애인 연쇄는 수천 명으로 
Tip 네트워크 과학의 주요 개념 Ⅰ_네트워크 이론의 발전 과정과 척도 없는 네트워크 

제5장 신종플루 발생시 휴교 조치는 옳은 걸까_전염병을 확산시키는 관계의 연쇄
뵨사마와 케빈 베이컨은 얼마나 가까울까 / 수학계의 인맥 연쇄를 말해주는 에르되시 넘버 / 신종플루와 나의 거리는 몇 단계일까 / 휴교하면 학생들은 어디로 갈까 / 신종플루 감염 파티로 면역력을 얻는다? 
Tip 감정의 확산 범위_친구의 친구의 친구도 당신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제6장 정보가 모이는 사람, 정보를 전하는 사람_약한 유대관계의 강점과 약점
당신의 인간관계,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 사라진 메시지는 어디로 갔을까 / 스몰 월드 실험의 문제점 / 알카에다 열성 지지자에게 메시지를 보내려면 / 강의실에서 이루어진 스몰 월드 실험 / 메시지의 도달 가능 경로는 몇 개? / 전쟁에서도 정보 전달에서도 ‘다리’가 중요하다 / 소문은 왜 전달되지 않을까 / 약한 유대의 힘에서 발견한 틈새 / 정보를 주는 사람, 정보를 얻는 사람 / 약한 유대의 힘은 ‘다리’의 힘 / 6은 정말 관계의 매직넘버인가 
Tip 네트워크 과학의 주요 개념 Ⅱ_6단계 분리와 스몰 월드 효과 

제7장 당신을 좋아하는 사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_다가오는 관계의 인지와 제어
정리를 못한다고 게으른 것은 아니다 / 고정관념을 깨고 더 넓은 네트워크의 세계로 / 연결은 연결을 원하는 사람에게 온다 / 당신의 마지막 순간을 지켜줄 사람은 누구인가 / 다가오는 관계에 주목하라 
Tip 네트워크의 영향력자들_약한 유대와 구조적 공백에서 발견하는 허브 혹은 키맨 

에필로그_관계의 다리를 불태우고 새로운 다리를 놓다 
참고문헌

청구기호 Browsing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 제목에는 특수기호 사용을 제한합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4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3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2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1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태그

태그추가


1532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안산대학로 155 (일동) Tel. 031)400-7071~4 Fax. 031)400-7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