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 저자 서문 10
1부 | 역사와 시간의 미시정치학
1장 두 가지 유형의 역사, 혹은 역사의 잉여가치
─ 맑스주의와 역사에 대하여
1. 초월성과 내재성 34
2. 시간과 역사 39
3. 역사의 주체 43
4. 역사의 시간, 역사의 잉여가치 49
5. 두 가지 유형의 역사 56
6. 역사와 반-역사 59
7. ...
목차 전체
■ 저자 서문 10
1부 | 역사와 시간의 미시정치학
1장 두 가지 유형의 역사, 혹은 역사의 잉여가치
─ 맑스주의와 역사에 대하여
1. 초월성과 내재성 34
2. 시간과 역사 39
3. 역사의 주체 43
4. 역사의 시간, 역사의 잉여가치 49
5. 두 가지 유형의 역사 56
6. 역사와 반-역사 59
7. 역사와 혁명 64
2장 소수적인 역사는 어떻게 가능한가?
─ 소수자와 반역사적 돌발
1. 소수자란 어떤 존재인가? 73
2. 역사와 기억 78
3. 돌발과 포획 81
4. ‘자이니치’, 혹은 역사의 틈새 90
5. 사파티스타, 미래시제의 역사 97
6. 소수적인 역사 101
3장 ‘진보’ 개념의 미래
─ 맑스주의와 진보의 이념
1. ‘진보’의 진보 107
2. 근대적 진보 개념과 맑스주의 110
3. 진보의 미시적 개념 119
4. 진보의 이념을 갖는다는 것 128
2부 | 시간과 역사의 표상공간
4장 시간적인 세계와 비시간적인 세계 사이의 시간
─ 조선 후기 〈세시기(歲時記)〉에서 사회적 시간의 시간성
1. 세시풍속과 시간 138
2. 두 개의 세계 141
3. 제의의 시간적 유형들 147
1) 불러내기, 맞이하기 2) 보내기, 버리기 3) 가두기, 밟기 4) 점치기와 모의전
4. 제의와 제의력 158
1) 제의의 시간성 2) 제의력과 자연력
5. 제의의 절차와 사회적 시간 166
1) 제의 절차의 세 요소 2) 제의와 사회적 시간
6. 비시간적인 것과 시간적인 것의 만남 175
5장 근대적 시간은 어떻게 ‘선험적 시간’이 되었나?
─ 〈독립신문〉에서 근대적 시간-기계의 작동 양상
1. 근대적 시간과 신문 184
2. 동시성과 현재성 190
1) 동시성의 시간 형식 2) 현재성의 시간 형식
3. 선형적 시간의 구성 206
1) 흘러가는 ‘오늘’들 2) 시간표와 예정된 미래
4. 생활방식과 시간성 214
1) 규율로서의 시간 2) 돈으로서의 시간 3) 미래로서의 시간
5. 근대적 시간의 장 226
6. 가시성의 형식과 보편성의 권력 230
6장 근대적 영토 개념의 탄생
─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에서의 영토적 공간 개념
1. 근대적 영토의 문제 238
2. 영토적 공간 관련 개념들 241
3. 〈독립신문〉에서 영토적 공간 개념의 용법 244
1) 강토 2) 산천, 강산 3) 백성, 인민, 국민
4. 〈대한매일신보〉에서 영토 개념의 용법 255
1) 강토 2) 산천, 강산, 조국 3) 백성, 인민, 국민
5. 국민-민족이라는 개념적 이중체의 출현 268
7장 근대적인 역사 개념의 고고학
─ 〈대한매일신보〉에서 역사적 시간의 개념
1. 역사의 출현 278
2. 역사와 진보의 관념 280
1) 실체로서의 역사 2) 진보, 선형적 시간의 누적 3) 역사와 진보의 결합
3. 기원의 관념과 역사 294
1) 단군과 기자의 문제 2) 위대한 기원의 ‘발견’
4. 역사적 주체의 이중화 301
1)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민족 2) 민족과 국민
5. 근대적 역사 개념의 탄생 311
8장 근대 초기 역사 관련 용어들의 용법
─ 〈대한매일신보〉에서 역사 관련 개념들의 인접성과 비대칭성
1. 용어의 정의 327
2. 역사 개념의 출현? 330
3. 역사 관련 용어들의 사용 빈도 334
4. 인접성 분석의 방법 340
5. 역사 관련 용어의 인접성 분석 344
6. 역사 관련 용어들의 비대칭성 분석 352
7. 인접성과 비대칭성의 분석 결과 354
8. 역사-단군-민족이 만드는 개념적 공간 357
3부 | 사건, 혹은 역사의 외부
9장 식민지 인민은 말할 수 없는가?
─ ‘동아신질서론’과 조선의 지식인
1. 제국주의의 역설 366
2. ‘동아시아’, 동일성의 순환공간 368
3. 동일성의 동심원들 377
4. ‘내선일체’, 혹은 너무도 당혹스런 모방 383
5. ‘세계사’ 이전의 역사철학? 393
6. 식민지 인민은 어떻게 말하는가? 404
1) 내파의 전략 2) 횡단의 전략
10장 ‘가족계획 사업’의 생명정치학
─ 가족계획 담론과 가족주의의 변환
1. ‘가족계획’의 이중적 담론 425
2. 산아제한과 ‘가족계획’ 429
3. 인구학적 담론으로서 ‘가족계획 사업’ 434
1) 담론적 배치의 전환 2) 가족계획 사업과 가족적 욕망
4. ‘가족계획 사업’의 생명정치학 446
5. 가족계획 사업의 ‘동맹자’들 458
6. 가족계획 사업과 가족주의 463
11장 유령과 소수자, 두 개의 외부
─ 한국의 사회운동에 대한 산야 강연
1. 유령들의 시간 473
2. 운동에서 ‘혁명’으로 478
3. 되돌아간 미래 483
4. 도래한 대중 487
5. 노동자계급과 소수자 493
12장 저무는 제국의 막차를 타다
─ 한미 FTA, 혹은 생존과 생명의 권리
1. 미국과 FTA 499
2. 노무현 정부와 한미 FTA 503
3. FTA와 민중의 삶 508
4. FTA와 생명권의 문제 511
13장 세 개의 비―정치적 정치학
─ 이명박 정부의 경제-정치학
1. ‘이념적 정부’의 반이념성과 ‘실용적 정부’의 이념성 521
2. 이명박 정부의 경제-정치학 525
3. 세 개의 비-정치적 정치학 528
4. 대중과 감정의 정치학 533
14장 과거와 미래의 대결
─ 촛불시위와 대중의 흐름
1. 밝은 대중, 어두운 미래 541
2. 촛불시위와 대중의 흐름 543
3. 벽과 흐름의 대결 547
4. 대중의 공포와 ‘비폭력 투쟁’ 550
5. 촛불시위가 남긴 것 555
에필로그 도그빌, 이주자들을 착취하는 개 같은 나라 559
■ 참고 문헌 570
■ 원문 보기 57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 제목에는 특수기호 사용을 제한합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