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결과 상세 정보

  • HOME
  • 검색결과 상세 정보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조선 후기의 차 문화-산문(散文)

송재소

책이미지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조선 후기의 차 문화-산문(散文)
서평쓰기
서평쓰기
책이미지

QRcode

QR Code
QRcode 사용방법
QRcode 사용방법
QR코드 정의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형식의 코드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각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QR코드 인식프로그램
스마트폰 마켓에 들어가면 'QR코드 스캔 프로그램'을 검색해 무료 어플을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서정보 QR코드 이용하기
도서 상세정보에서 QR코드를 스캔하면, 모바일 웹페이지로 연결되어 해당 도서의 상세정보 및 소장정보 등을 확인 할 수있습니다.
닫기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조선 후기의 차 문화-산문(散文)/ 송재소; 유홍준; 정해렴 외 옮김.
개인저자송재소
송재소, 옮김
유홍준, 옮김
정해렴, 옮김
조창록, 옮김
노승석, 옮김
이규필, 옮김
발행사항파주: 돌베개, 2009
형태사항407p.: 채색삽도; 24cm
ISBN9788971993422(2)
9788971993408(세트)
일반주기 부록: 1. 인명 사전, 2. 서명 사전
공옮긴이: 조창록, 노승석, 이규필
서지주기찾아보기: p. 394-407
서지적 각주 수록
분류기호394.15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보존서고도서 신청보존서고도서 신청
  • 인쇄인쇄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CD-NET
1 EM76185 394.15 송72ㅎ v.2 2층 제1자료열람실/2층 일반도서서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초록

목차 일부

차와 문화 그리고 문학이 어우러진 역사 속으로의 여행!

한국의 차 문화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정리하는 작품집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인간의 기호식품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차는 우리 역사상 어느 때보다 지금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우리의 유구한 차 문화 전통을 문학작품과 역사의 이야기 속에서 종합 정리함으로써 이 땅의 차 문화를 깊고 내밀...

목차 전체

차와 문화 그리고 문학이 어우러진 역사 속으로의 여행!

한국의 차 문화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정리하는 작품집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인간의 기호식품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차는 우리 역사상 어느 때보다 지금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우리의 유구한 차 문화 전통을 문학작품과 역사의 이야기 속에서 종합 정리함으로써 이 땅의 차 문화를 깊고 내밀하게 들여다본다. 제2권은 이익의 「다식」에서부터 이덕리의 「기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총 29명의 차와 관련된 산문을 수록하였다. 

조선 후기 차 문화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을 중심으로 차와 관한 기록을 담아낸 제2권은 한국의 차 문화의 오랜 역사를 드러낸다. 조선의 사대부는 흔히 우정의 표시로 차를 선물했으며, 차를 마시며 시를 읊었고, 술을 마신 뒤에도 차를 마셨다. 즉 하나의 문화인 ‘차’의 이야기는 사적으로 주고받은 편지나 개인 일기, 사행 길의 기록, 역사서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신광수의 「성천 생원 원형에게」는 당시 지방에서 거래되던 차의 가격과 수요, 그리고 차를 통한 교유 양상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신광수의 편지를 비롯한 제2권에서는 차의 재배와 보관, 끓이고 마시는 법에 이르는 전문적인 지식을 문학적으로 관찰한다. ‘한국의 차 문화 천년’시리즈는 저자의 생년을 기준으로 작품을 수록했으며 매 작품마다 해설을 두어 작품 분석과 저술 배경을 상세하게 밝혀 쉽고 흥미롭게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전한다. 제2권 [양장본]

목차

목차 일부

이익, 1681∼1763
다식 / 다시 

신유한, 1675∼1728
일본의 다례 

이광사, 1705∼1777
내도재기 

이상정, 1710∼1781
도언 김종덕에게 답하다 

신광수, 1712∼1775
성천 생원 원형에게 

안정복, 1712∼1791
수다설 

이덕리, 1728∼?
기다 

황윤석, 1729∼179...

목차 전체

이익, 1681∼1763
다식 / 다시 

신유한, 1675∼1728
일본의 다례 

이광사, 1705∼1777
내도재기 

이상정, 1710∼1781
도언 김종덕에게 답하다 

신광수, 1712∼1775
성천 생원 원형에게 

안정복, 1712∼1791
수다설 

이덕리, 1728∼?
기다 

황윤석, 1729∼1791
부풍향다보 

홍대용, 1731∼1783
 중국의 음식 문화 / 조선의 음식 문화 

유득공, 1748∼1807
차의 대용품 

유만주, 1755∼1788
중국에서 황제에게 바치는 납차·중국 차의 유래와 종류·순채국과 차 

빙허각 이씨, 1759∼1824
다품 

정약용, 1762∼1836
 차의 생산과 판매 / 승려 아암에게 차 주기를 청하는 편지 / 혜장의 병풍에 쓴다 / 차의 명칭 / 차의 전매 제도 / 차의 전매와 민고 / 다신계 절목 / 윤종삼·윤종진에게 말해주노라 

윤형규, 1763∼1840
다설 

서유구, 1764∼1845
 차 / 다공 / 다구 

이학규, 1770∼1835
감찰다시 

혜장, 1772∼1811
금호에게 보낸 답장 

정학연, 1783∼1859
차의 재배와 저장 

초의, 1786∼1866
홍현주에게 바친다 / 완당 김정희에게 바치는 제문 / 다신전 

김정희, 1786∼1856
이재 권돈인에게(제17신) / 오경석에게(제4신) / 초의에게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1신)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3신) 

김명희, 1788∼1857
찻잎을 따서 덖는 방법 

김경선, 1788∼1853
음식 

이규경, 1788∼1856
도다변증설 / 차, 율무, 청양을 심는 것에 대한 변증설 / 개다와 죽로차 

이상적, 1803∼1865
용단승설을 적다 

최한기, 1803∼1879
음식의 훈증 

조재삼, 1808∼1866
황차 / *황차 관련 기록 

이유원, 1814∼1888
다시청 

신헌구, 1823∼1902
해다설 

김윤식, 1835∼1922
차 주발 / 이홍장과의 담화 / 정약용과 강진 차 / 내아문 포시 

승정원일기
흑색 작설차를 봉납한 일 / 청차와 우전차의 효능 / 우전차의 효능 / 작설차의 효능 / 삼남의 작설차 / 작설차의 복용법 

조선왕조실록
중국 작설차를 봉진함 / 다례에 쓰던 인삼차 / 인정전에서 행하던 다례 / 대마도 사람들의 차 애호 / 사적으로 차를 거래하는 것에 대한 법령

청구기호 Browsing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 제목에는 특수기호 사용을 제한합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4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3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2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1점
  • 메세지가 없습니다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태그

태그추가


1532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안산대학로 155 (일동) Tel. 031)400-7071~4 Fax. 031)400-7075